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뒤 석 달 이상 연체해 ‘신용유의자’(옛 신용불량자)가 된 개인사업자가 1년 새 30% 가까이 급증했다. 자영업자들이 연체의 늪에 빠져들었다는 경고음이 터져 나오고 있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개인사업자(자영업자·기업대출을 보유한 개인) 대출 현황’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한국신용정보원에 신용유의자로 등록된 개인사업자는 14만129명이었다. 1년 전인 2023년 말(10만8817명)보다 28.8% 늘어난 수치다. 신용유의자는 90일 이상 장기 연체 등으로 신용정보원에 등록된 경우다. 신용등급 하락, 금융 거래 제한 등 불이익을 받는다.
이들 상당수는 금융회사 세 곳 이상에서 빚을 낸 다중채무자다. 작년 말 기준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자영업자 336만151명 중 다중채무자는 171만1688명(50.9%)에 달했다. 대출이 있는 개인사업자 두 명 중 한 명은 다중채무자인 셈이다. 다중채무 개인사업자가 보유한 대출금액은 693조8658억원으로, 개인사업자 전체 대출금액(1131조2828억원)의 61.3%에 육박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카드사, 캐피털, 대부업체로 밀려난 자영업자는 더 높은 금리를 내야 하고, 이는 더 큰 이자 부담으로 이어진다”고 우려했다.
자영업자 대출의 부실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은 1.67%로 집계됐다.
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