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등급 강등 위기인데…내년 4.7兆 '차환 리스크'

1 day ago 3

롯데카드가 신용등급 강등 위기에 내몰렸다. 해킹사태 후폭풍으로 신용도가 떨어지면 만기 채권 차환에 따른 이자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전망이다. 당장 내년 4조7000억원이 넘는 여신전문금융채 만기가 줄줄이 도래하는데, 차환을 위한 이자 비용이 늘어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신용등급 강등 위기인데…내년 4.7兆 '차환 리스크'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용평가사인 한국기업평가와 나이스신용평가는 최근 “롯데카드의 신용도 모니터링을 강화한다”는 내용이 담긴 보고서를 발표했다. 지난 18일 297만 명의 롯데카드 고객 정보가 유출됐다는 사실이 알려진 데 따른 후속 조치다.

해킹사태 수습 과정에서 투입되는 비용이 롯데카드 신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다는 게 신용평가사들의 방침이다. 한기평 관계자는 “카드 재발급, 연회비 면제 등 고객 지원 비용이 상당한 수준”이라며 “과징금과 피해보상액 규모도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고객 이탈 역시 신용도 판단의 핵심 지표로 꼽힌다. 롯데카드는 2019년 MBK파트너스가 인수한 뒤 개인 회원 수가 2020년 731만 명에서 지난해 6월 807만 명으로 늘어났다. ‘몸값’을 올리기 위한 고객 모집에 주력한 결과다. 하지만 해킹사태로 고객 이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지난 18일 약 24만 장에 달하는 재발급 신청이 들어온 것으로 확인됐다.

업계에서는 해킹 사태 파장이 확대되면 현재 ‘AA-’(안정적)인 롯데카드 신용도가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신용등급 전망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한 단계 떨어질 수 있다는 뜻이다.

문제는 수신 기능이 없는 카드회사 특성상 신용도 강등이 자금 조달 부담 확대와 직결된다는 점이다. 통상 카드사는 주로 여전채를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 신용도가 떨어지면 더 많은 이자를 내고 여전채 발행에 나서야 하는 구조다. 즉 ‘해킹 사고에 따른 수익성 악화→신용도 하락→이자 부담 심화→신용도 추가 강등’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는 뜻이다.

내년부터 5조원에 가까운 여전채 폭탄이 도래하는 것도 부담이다. 내년 롯데카드 여전채 만기 규모는 4조7200억원에 달한다. 7개 전업 카드사 가운데 가장 큰 규모다. 2027년에도 4조5600억원에 달하는 여전채 만기가 돌아온다. 신용도 강등이 현실화하면 만기 여전채 차환에 따른 이자 비용이 급증할 수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롯데카드 이자 비용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롯데카드 이자 비용은 84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했다. 전체 비용 가운데 이자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도 2021년 15.8%에서 지난 3월 28.5%로 확대됐다.

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