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신안산선 사업이 2019년 실시된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지반침하 우려가 제기됐다”고 주장했다.
![]() |
12일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붕괴 현장에서 소방관들이 실종자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경기도소방재난본부) |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 의원실에 따르면 박 의원이 ‘신안산선 복선전철(본선 1구간) 민간투자사업 환경영향평가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환경영향평가 당시 ‘본 사업은 도심구간 지하공간에 다수의 시설물 설치를 계획하고 있어 대규모 지하수 유출에 따른 지반침하 등 구조물의 안정성 문제와 인근 지하수 시설에 대한 영향이 우려된다’는 의견이 제시돼 있었다.
또 터널공사에 따른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계획노선 인접 과정에 미치는 최대 영향 거리가 388미터이고, 수위는 최대 12미터 정도 강하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하수위 강하를 완화할 수 있는 추가 저감 방안과 현재 활용 중인 관정 현황, 관정의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환경부와 경기도에서도 비슷한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환경부는 “대규모 지하수 유출에 따른 지반침하 등 구조물 안정성 문제와 인근 지하수 시설에 대한 수위강하가 우려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경기도는 “싱크홀 발생이 없도록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서울시는 “지반조사 심토가 실제 터널구간 깊이에 미치지 못하는 구간이 상당히 많이 존재하고 있어 실제 지반상태 파악이 어렵다”고 짚은 바 있다.
박 의원은 “강동구 싱크홀 사고에 이어 신안산선 붕괴 사고가 발생하며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며 “정부가 이번 사고가 부실한 지반조사와 설계로 인해 발생한 것이 아닌지 철저하게 조사해 국민 불안을 해소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 11일 오후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민간투자사업 공사현장에서 터널 붕괴 및 도로 파손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작업자 2명이 매몰됐고 이중 1명은 구조됐으나 나머지 실종자 1명은 아직 수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