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가 대출모집인을 통한 대출 접수를 전면 중단했다. 부실 금고 구조조정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도 꾸렸다. 자산 덩치를 줄이는 동시에 건전성 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기 위한 조치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새마을금고는 이날부터 대출모집인을 통한 대출을 중단하고 나섰다. 새마을금고는 ‘6·2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사업자대출로 주택담보대출을 우회하는 편법을 막기 위해 대출모집인을 통한 개인사업자대출을 중단한 바 있다. 이번에 주담대와 법인대출 등 모든 대출로 중단 범위를 확대한 것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재개 시점은 미정”이라며 “창구나 비대면을 통한 직접 대출 신청은 그대로 가능하다”고 말했다.
새마을금고가 대출모집인을 통한 대출을 통째로 모두 막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11월 서울 둔촌동 ‘올림픽파크포레온’(옛 둔촌주공) 잔금대출 취급을 두고 경쟁적인 영업으로 금융당국의 지적을 받은 뒤 대출모집인을 통한 주담대 취급을 중단했다가 올해 초 재개하기도 했다.
이번 조치는 여신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취지다. 그동안 대출모집인을 통한 대출에서 서류 조작, 부실 등 사고가 상대적으로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부실 금고 정리에도 속도를 낸다. 중앙회는 최근 내부에 이사 및 부서장 등이 참여하는 ‘금고 건전성 관리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렸다. 부실 금고 합병 및 연체채권 정리 등에 속도를 내기 위해 출범한 일종의 구조조정 태스크포스(TF)다. 중앙회가 개별 금고 구조조정 목적의 비대위를 구성한 것도 처음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부실이 터진 후 금고의 적자 확대 및 건전성 악화가 지속하자 체질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전체 1조7382억원의 순손실을 내며 역대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다. 지방 및 상업용 부동산 침체가 지속되며 올해 실적도 반등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비대위는 연체율과 자본비율 등 건전성 지표가 악화한 금고를 정리 대상 목록에 올려놓고 실제 구조조정이 필요한 금고를 솎아낼 방침이다. 경영실태평가에서 4등급(취약)과 5등급(위험)을 받은 금고 등이 우선 고려 대상이다. 자산 규모가 작아 인근 금고와 합병해 운영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금고도 들여다볼 예정이다.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은 “조속한 경영 정상화를 위해 전례 없는 다양한 조치를 강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신연수/박재원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