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님 너무 없다, 이자 낼 돈도 없어...2월 은행대출 연체율 75개월만에 최고

9 hours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6년3개월 만에 최고 수준인 0.58%로 상승했으며, 특히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의 대출 연체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기업대출 연체율이 0.68%로 전월 대비 상승했으며,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90%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경기 부진이 지속될 경우 추가적인 연체율 악화를 경고하며, 은행의 손실 흡수 능력 강화를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서울 한 은행의 대출코너 모습. 2025.4.25 [사진 = 뉴스1]

서울 한 은행의 대출코너 모습. 2025.4.25 [사진 = 뉴스1]

국내 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6년3개월 만에 최고 수준까지 올랐다. 특히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를 중심으로 기업대출 연체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2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이 0.58%였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전월(0.53%)보다 0.05%포인트 오른 것이다. 2018년 11월(0.60%) 이후 약 6년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2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2조9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3000억원 줄었다. 연체채권 정리 규모도 1조8000억원으로 8000억원 늘었다.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한 기업대출 연체 증가가 연체율을 끌어올렸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전월 0.61%에서 0.68%로 0.07%포인트 상승했다.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90%로 전달보다 0.08%포인트 올랐다.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도 0.76%로 0.06%포인트 올랐다. 반면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0.10%로 전월 대비 0.05%포인트 증가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3%로 전월과 유사한 수준이다. 다만 금감원은 경기 부진이 장기화하면 추가로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은행권이 향후 신용위험 확대 가능성 등에 대비해 충분한 손실 흡수 능력을 유지하도록 유도하겠다”며 “적극적인 연체·부실채권 상매각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