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현식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세종대왕유적관리소는 오는 13일부터 7월 13일까지 경주 여주시 세종대왕역사문화관에서 ‘세종대왕 나신 날’(5월 15일) 국가기념일 지정 기념 특별전시 ‘성군 세종, 탄신과 안식’을 개최한다.
![]() |
세종비 소헌왕후 상시호 금보(사진=국가유산청) |
![]() |
세종단종태실표석수립시의궤(사진=국가유산청) |
이번 특별전시는 ‘세종대왕 나신 날’ 628돌과 국가기념일 지정을 기념해 진행하는 ‘숭모제전’(崇慕祭典) 부대행사다. 세종대왕의 탄신과 안식을 각각 상징하는 ‘태실’(胎室, 태반과 탯줄을 봉안한 곳)과 ‘왕릉’(英陵), 대왕에 대한 당대의 평가를 대변하는 묘호(廟號, 종묘 신실의 이름)인 ‘세종’(世宗)과 시호(諡號, 돌아가신 왕과 왕비에게 올린 이름)인 ‘영문예무인성명효’(英文睿武仁聖明孝)를 중심으로 군주로서, 또한 한 인간으로서 위대했던 일생을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전시 공간은 탄신을 의미하는 새벽 여명의 검푸른 색과 죽음과 안식을 의미하는 황혼의 보라색으로 꾸몄다. 주제는 세종대왕의 태항아리(태를 씻어서 넣은 항아리)와 태지석(胎誌石, 누구의 태인지를 새긴 돌판) 실물을 보며 조선 왕실에서 ‘태’(胎)가 가지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안태’(安胎, 명당의 자리에 조성한 태실에 아기씨의 태를 안치하는 국가적인 의례), 세종대왕의 묘호와 그의 일생을 여덟 자로 평가한 시호의 의미를 조명하는 △‘묘호, 시호’(廟號, 諡號), 세종이 승하하고 문종이 즉위하던 해에 세종의 시호를 올리며 만든 어보(도장)인 ‘세종 상시호 금보’를 볼 수 있는 △‘세종 상시호 금보’, 실물 크기의 영릉(英陵) 표석을 본떠 제작한 탑본 족자와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왕릉이 조선 최초의 합장릉이 된 이유를 전시한 △‘안식’ 등 총 4가지다.
![]() |
세종 안태용 도자기(태항아리)와 태지석(사진=국가유산청) |
![]() |
세종대왕 영릉비 탑본 전면(사진=국가유산청) |
세종대왕유적관리소는 “이번에 전시하는 세종의 태가 담겨있었던 태항아리는 일반에 자주 공개하지 않았던 유물”이라며 “‘세종 상시호 금보’에 새겨진 각 고대 글자의 뜻풀이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영릉이 왜 조선 최초의 합장릉이 되었는지를 소헌왕후에 대한 세종의 지고한 사랑으로 풀어내어 위대한 군주로서의 모습뿐만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의 진실된 모습을 부각시킨 것도 이번 전시만의 특징”이라고 부연했다.
전시는 기간 내 세종대왕역사문화관을 방문하는 관람객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5월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6월과 7월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관람 가능하다. 단 월요일은 휴관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