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선에 뛰어든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들이 세월호 참사 11주기인 16일 한자리에 모여 희생자들을 추모했다. 민주당 유력 대선주자인 이재명 전 대표는 “대통령실을 국가안전 재난·안전 관리 컨트롤타워로 복원하고, 국가의 안전 책무를 법률에 명시하겠다”고 밝혔다.
이 전 대표와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지사는 이날 오전 당 공명선거 실천 협약식에서 공정한 선거를 위한 서약을 한 뒤 경기 안산으로 이동해 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식에 참석했다. 이들은 당 경선룰 확정 후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였다.
이 전 대표는 이날 방명록에 ‘생명과 안전이 존중되는 사회를 꼭 만들겠습니다’고 남겼다. 자신의 SNS에는 “어떤 비용과 이익도 국민의 안전과 생명에 앞설 수 없는 나라를 만들어 가자”며 “국가의 안전 책무를 법률에 명시하고, 현장 중심의 재난 지휘권을 강화하겠다”고 썼다. 산불, 수해, 싱크홀 같은 자연·사회재난의 통합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하수관 정비 등 도시형 물관리 시스템도 정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는 “피해 복구와 보상을 강화하고, 유가족의 목소리를 제도적으로 반영하겠다”고 했다.
김경수 전 지사는 SNS에 “세월호 참사 이후 다시는 이런 일이 없어야 한다고 했지만, 현실은 그러지 못했다”며 “산불과 싱크홀 사건에서 보듯 기존에는 생각지 못했던 재난이 언제든 우리 사회를 위협할 수 있다”고 적었다. 이어 “위기 대응 매뉴얼을 꾸준히 업데이트하고, 재난이 발생했을 때 실무자가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해 소신껏 일할 수 있어야 한다”며 “대규모 재난이 발생하면 부처별 칸막이나 관할을 따지지 않고 대한민국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 대응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동연 지사는 경기도가 지난 3월 출범한 안산 마음건강센터를 책임지고 운영하겠다고 강조하면서 10년 만에 착공된 4·16 생명 안전공원이 제때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이 전 대표 캠프 측은 후원금 모금을 시작한 첫날인 지난 15일 오전 10시에 당일 법정 한도인 29억4000만원을 모두 채웠다고 밝혔다. 후원에 참여한 인원은 총 6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2년 대선 당시 두 달간 3만1000명이 참여한 것과 비교하면 이번 대선의 후원금 모금 속도와 규모가 더 빠르고 커졌다는 평가다. 캠프 관계자는 “후원자의 99%가 10만원 미만을 낸 소액후원자로 집계됐다”고 말했다.
이광식 기자 bume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