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기관총 낙하, 조종사가 히터 조절중 버튼 잘못 눌러”

6 hours ago 1

“비상투하 버튼과 모양-크기 비슷”
실탄 5발-연료탱크 아직 못찾아

KA-1 공중통제공격기. (공군 제공) 뉴시스

KA-1 공중통제공격기. (공군 제공) 뉴시스
18일 발생한 KA-1 공중통제공격기의 기관총·연료탱크 낙하 사고는 조종사가 히터 풍량을 조절하려다 비상투하 버튼을 잘못 눌러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공군에 따르면 당시 야간 모의사격 훈련 중이던 조종사들은 바이저(전투기 헬멧의 고글) 위에 야간 투시경을 쓰고 있었다. 그런데 후방석 조종사가 히터 바람이 바이저 사이로 들어와 시야에 불편을 느껴 풍량을 조절하려다 송풍구 바로 위의 비상투하 버튼을 잘못 눌렀다는 것. 이 때문에 강원도 평창 상공에서 실탄 500발과 기관총 2정이 든 기총포드(GunPod) 2개, 외장 연료탱크 2개가 지상에 떨어졌다. 공군은 기총포드 2개와 실탄 대부분을 수거했고, 나머지 실탄 5발과 연료탱크를 찾고 있다.

KA-1의 비상투하 버튼은 주변에 3.5cm 높이의 원통형 프레임이 있고, 별도 덮개 없이 외부에 노출된 형태다. 비상투하 버튼과 송풍구 모두 원형이며 누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공군 관계자는 “송풍구와 비상투하 버튼의 지름은 각각 3.3cm, 3.5cm로 모양과 크기가 유사하다”며 “조종사가 비상투하 버튼을 송풍구로 오인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전방석 조종사(소령)는 1290여 시간, 후방석 조종사(대위)는 870여 시간의 비행 경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공군은 내부 절차를 거쳐 사고 조종사에 대한 문책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이번 사고는 지난달 초 공군 KF-16 전투기의 민가 오폭 사건 한 달여 만에 발생했다. 공군 관계자는 “연이은 사고에 대해 매우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며 “오조작 예방 대책 등 실질적인 재발 방지 대책을 강구해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공군은 사고로 중단됐던 비행훈련은 22일 오후부터 재개한다고 밝혔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손효주 기자 hjs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