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연구와 의료 기술 혁신을 위해 양성한 의사과학자 절반이 연구소가 아니라 병원에서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김용태 국민의힘 의원이 서울대 등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까지 의사과학자 양성사업에 참여한 서울대 의대 재학생은 148명이다. 이 중 교육과정을 마친 48명이 진출한 분야는 연구학술기관(23명·47.9%), 의료보건기관(22명·45.8%) 등이다.
다른 대학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지난달 기준 보건복지부 의사과학자 양성사업을 수료한 77명 가운데 36명(46.8%)은 임상·연구 분야에 종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순수 연구 분야 인원은 34명(44.2%)이다. 순수 연구 분야 종사자 중 27명은 박사후연구원으로, 7명은 연구 전담 조직에서 일하고 있다.
연간 1700명이 연구소로 가는 미국과 비교하면 크게 뒤처진다. 김 의원은 “의사와 비교해 연구직의 소득이 매우 적고 연구 환경이나 진로 설계가 어렵다 보니 우수 인력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