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상승세 지속…강남·서초 등 동남권 오름폭 확대

4 hours ago 1

뉴스1DB

뉴스1DB
올해 3월 서울시 집값 상승폭이 지난해 7월 금융당국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유예 발표 이후 벌어졌던 집값 과열 현상에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삼·대·청(잠실 삼성 대치 청담동)’이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되면서 매수 수요가 몰렸던 것으로 풀이된다.

1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3월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격지수는 전월(1.38%)보다 1.6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상승폭은 지난해 8월(1.64%)과 같았다. 실거래가격지수는 호가 등을 제외한 실제 거래된 거래가격만을 산정한 것으로 부동산 시장 흐름을 비교적 정확하게 반영하는 지표로 꼽힌다. 신고 기한(30일), 통계 분석 등을 고려해 2개월 후에 발표된다.

토지거래허가제 영향을 받은 동남권(강남, 서초, 송파, 강동구)에서는 집값 상승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3월 동남권 실거래가격지수는 전월(2.04%)보다 2.65% 올랐는데 이는 지난해 7월(2.90%)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이어 도심권(종로·중·용산구, 2.07%), 서남권(강서·양천·영등포 등 7개 자치구, 1.74%), 서북권(은평·서대문·마포구, 1.34%), 동북권(강북구·도봉구 등 8개 자치구, 1.21%) 순으로 올랐다. 서울시가 2월 잠·삼·대·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해제하면서 매수 수요가 몰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번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영향은 금융 규제 완화로 벌어진 수요 증가와 유사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금융당국은 ‘스트레스 금리’를 추가해 대출 한도를 줄이는 DSR 2단계 규제 시행 시기를 지난해 7월에서 9월로 2개월 유예했다. 이후 동남권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지난해 4월 0.69%였으나 5월(1.25%), 6월(2.02%), 7월(2.90%) 등으로 커졌다.

이축복 기자 bless@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