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지마비 환자, 생각만으로 컴퓨터 다룰 수 있어
中연구진 드론 조종도 성공…군사 적용 가능성
中국영기업 이미 칩 이식…“내년엔 50명 임상시험”
사지가 불편한 환자의 생각을 읽어 컴퓨터와 연결해주는 이른바 ‘뇌 임플란트’ 기술 개발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미국 빅테크 수장들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Brain-Computer Interface) 기업을 창업하거나 거금을 투자하고있는 가운데 중국 정부도 본격적으로 뇌 임플란트 산업 육성에 나서기 시작했다.
9일 과학계에 따르면 중국뇌연구소(CIBR)와 국영기업인 뉴사이버뉴로테크가 공동 개발한 뇌 임플란트 제품인 ‘베이나오 넘버 원(No.1)’이 올해 3월까지 세 명의 환자에게 인체 이식을 완료했다.
자세한 이식 방식이나 제품 사진을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뇌 표면에 이식하는 방식으로 추정된다. 두개골에 작은 구멍을 내고 뇌에 전극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의 미국 뉴럴링크보다는 덜 침습적인 방식이다. 뉴럴링크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창업한 뇌 임플란트 개발 기업이다. 뉴사이버뉴로테크는 “연내 10명의 환자에게 베이나오 넘버 원을 추가 삽입하고, 내년에 규제 당국의 승인을 받아 약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식 임상 시험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의 또 다른 BCI 기업 스테어메드는 지난달 3억5000만 위안(약 702억 원)을 투자 유치하기도 했다. 2021년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원숭이에게 뇌 임플란트를 이식해 생각만으로 로봇 팔을 움직이는 데 성공했다. 스테어메드의 제품은 뉴럴링크의 뇌 임플란트 제품인 ‘텔레파시’의 절반 정도인 4mm로, 매우 얇은 전극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당초 뇌 임플란트 기술은 미국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었으나, 최근 중국 정부가 관련 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개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며 시장이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지난 달 31일 중국 후베이성 지방 정부는 침습적인 뇌 임플란트는 시술 당 약 6552위안(약 131만 원), 비침습적 제품은 966위안(약 19만 원)으로 가격을 책정해 발표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이에 대해 “중국 정부가 뇌 임플란트 제품 시장을 지원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으며 상용화에 빠르게 다가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이런 중국의 움직임에 대해 “뇌 임플란트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 이를 통해 국방, 안보까지 기술을 빠르게 확대해나가기 위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현재는 환자 치료를 위한 의료기기로 개발되고 있지만 향후 생각만으로 로봇, 드론을 조종할 수 있는 기술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중국 칭화대와 톈진대 연구진은 최근 머리에 쓰는 방식의 뇌 임플란트 기기를 개발해 이를 착용한 10명의 참가자가 생각만으로 드론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성공했다. 머스크 CEO 역시 뉴럴링크의 기술과 테슬라에서 개발 중인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를 결합하겠다는 의지를 지속적으로 밝힌 바 있다.
국내의 한 전문가는 “미중 간 기술패권 경쟁이 뇌 임플란트 분야까지 확대된 것”이라며 “다른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한 기술이기 때문에 경쟁은 점점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최지원 기자 jwchoi@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