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 강화·연구비 삭감·취업난 '3중고'…美서 짐싸는 韓유학생들

7 hours ago 1

< 트럼프 예산삭감 항의 중인 美학생들 > 미국 UCLA 학생과 연구자들이 지난달 8일 UCLA 캠퍼스에서 열린 시위에 참가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연구·교육 예산 삭감에 항의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 트럼프 예산삭감 항의 중인 美학생들 > 미국 UCLA 학생과 연구자들이 지난달 8일 UCLA 캠퍼스에서 열린 시위에 참가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연구·교육 예산 삭감에 항의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박사 과정, 박사후 과정을 밟는 유학생이 전부 패닉(공포)에 빠졌습니다.”

지난 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캠퍼스(UC버클리)에서 만난 한인 유학생 김모씨는 “장학금 대부분이 연구실에 할당된 연구비에서 나오는데 그 돈줄이 완전히 끊겼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국립과학재단(NSF)에 연구비 지원 중단에 더해 기존에 할당된 자금 집행마저 멈추라고 명령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간 99억달러(약 13조9000억원)의 예산을 보유한 NSF는 전 세계에서 기초과학 연구에 가장 많은 돈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미국 대학 내 기초 연구의 약 25%가 NSF 보조금으로 이뤄지는데 돌연 이 금액이 전액 삭감된 것이다. 김씨는 “유례없는 상황인데 어디에서도 명확한 답을 받을 수 없다”며 울분을 토했다.

◇유학생 관리에 손댄 美 정부

비자 강화·연구비 삭감·취업난 '3중고'…美서 짐싸는 韓유학생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반(反)이민 기조와 교육 예산 삭감에 따른 한인 유학생의 피해가 현실화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주요 빅테크까지 감원에 나서 취업 문도 막히고 있다. ‘트럼프발(發) 삼중고’에 미국을 떠나는 이공계 인재를 중국 등에 빼앗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5일 미국 이민변호사협회(AILA)에 따르면 올 3~4월 미국에서 비자가 취소되거나 체류 자격을 박탈당한 외국인 유학생은 4736명에 달한다. 이 중에는 5년 전 과속 운전 적발 이력 때문에 학생 비자가 돌연 취소된 한인 유학생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은 임의로 말소한 외국인 유학생의 ‘미국인 유학생 및 교환학생 정보시스템’(SEVIS) 기록을 복원하겠다고 지난달 25일 밝혔지만 유학생들의 분위기는 여전히 뒤숭숭하다.

특히 미국 전체 유학생 중 세 번째로 많은 한인 유학생(4만3149명)의 공포가 갈수록 확산하고 있다. 그동안 SEVIS 학생 정보 관리는 각 대학이 해왔다. 정부가 과거 경범죄 이력, SNS에 올린 콘텐츠 등을 토대로 학교 측에 통보 없이 일방적으로 체류 자격을 박탈할 수 있다는 게 이번에 드러나 불안을 더하고 있다.

이공계 학생들이 입은 타격은 더 크다. 학생 비자 취소에 대한 두려움에 더해 연구실에서 받던 각종 장학금과 보조금이 끊겨 생활고에 시달릴 정도다. 지난 2월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주요 대학과 연구소에 지급하는 보조금의 간접비 비율을 15%로 제한하는 지침을 발표했다. 각 대학과 연구기관은 NIH와의 협상을 통해 평균 27%의 간접비를 적용받아 이를 연구 시설 유지, 대학원생 장학금 지급, 행정 지원 등 대학 운영에 써왔다.

◇구글 등 빅테크 “대대적 구조조정”

가까스로 학생 비자와 보조금 삭감의 문턱을 넘은 졸업생은 취업 문제에 가로막히고 있다. 글로벌 취업정보업체 챌린저그레이&크리스마스(CG&C)에 따르면 1~3월 미국 주요 테크기업이 감원한 인력은 총 3만7097명에 달했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자동화와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에 발맞춰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프로그램을 폐지한 결과다.

실리콘밸리 기반의 빅테크일수록 감원 중심 기조가 확연하다. 메타는 2월 전체 직원의 5%에 해당하는 3600명을 감원했고, 구글은 지난 1월 이후 1000명 이상을 줄였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저성과자를 대상으로 성과 개선 프로그램(PIP)에 참여하지 않으면 2년간 재입사를 금지하는 조치까지 시행하고 있다. 구글에 재직 중인 한인 개발자 A씨는 “하드웨어 부문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오도 가도 못하는 한인 유학생이 급격히 늘면서 이들을 국내로 다시 들여오기 위한 ‘인재 리쇼어링’ 전략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해외 체류 중인 전체 이공계 유학생(2만9770명)의 약 45%가 미국에 있다. 대학원생으로 좁히면 비율은 63.3%로 치솟는다. 과기정통부는 최근 4대 과학기술원 관계자들과 해외 인재를 유치할 방안 마련에 나섰지만 관련 정책은 내년부터 시행되는 ‘5차 과학 인재 육성 기본계획’에 반영될 예정이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