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동남부, 러 영토’ 정당화 전망
북한군, 쿠르스크 후 벨고로드 참전중
유로마이단프레스는 3일(현지 시간) “동부전선에 대한 러시아의 압력이 커지면서 우크라이나 사령부는 북한군이 조만간 우크라이나 동부전선에 배치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안드리 코발렌코 우크라이나 국가안보·국방위원회 허위정보대응센터장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부와 남부 전선에 러시아 군복을 입은 북한 병력을 파견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병 북한군은 이제까지 러시아 영토인 쿠르스크 전선에만 투입돼온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들이 국경선을 넘어 우크라이나 영토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동·남부 4개 지역(도네츠크, 루한스크, 자포리자, 헤르손)을 일부 점령한 뒤 헌법상 자국 영토로 편입한 점을 내세워 북한군 배치를 정당화할 계획이라고 매체는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동부 일대는 러시아 영토기 때문에, 북한군이 우크라이나에 선전포고를 하지 않더라도 동맹국 영토 방어 차원에서 참전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러시아의 4개 지역 편입은 국제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일방적 주장이라고 매체는 강조했다.보도에 따르면 북한군 상당수는 쿠르스크 전투가 사실상 마무리된 뒤 벨고로드 전선의 우크라이나군 봉쇄 작전에 투입돼 전투를 이어가고 있다.매체는 “제3국(북한)이 전쟁에 직접 참여할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이러한 긴장 고조는 한국의 군사 지원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며 한국을 특정해 군사 지원 확대 필요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북한은 지난해 10월 약 1만1000명 규모의 병력을, 지난 1~2월에 걸쳐 약 3000명의 병력을 러시아에 파병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군 포로 증언 등에 따르면 이들은 쿠르스크 전선에 투입됐다.
러시아는 지난달 26일 ‘쿠르스크 완전 해방’을 주장하면서 북한군 참전 사실을 최초로 공식 언급했고, 북한도 28일 당 중앙군사위원회 서면 입장문을 통해 파병 사실을 처음 인정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