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자녀· 본인까지... 돌봄 ‘삼중고’에 70년대생 허리휜다

3 weeks ago 8

경제

부모·자녀· 본인까지... 돌봄 ‘삼중고’에 70년대생 허리휜다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본문의 핵심만 제공하므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1970년대생 베이비부머들은 부모와 자신, 자녀에 대한 부양 부담을 동시에 느끼는 '삼중고'를 겪고 있으며, 이는 1960년대생보다 높은 수치이다.

또한, 1970년대생들은 일자리에 대한 불안감이 높고, 공적 연금이 노후 주요 소득원이 될 것이라는 믿음이 적으며, 건강 상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높다.

돌봄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높으나, 현재의 돌봄서비스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어, 이들에 맞춘 장기적 돌봄 정책의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재단법인 돌봄과미래 설문조사
60~74년생 성인남녀 1500명 대상
자녀·부모 동시에 돌보는
70년대생 베이비부머 25%
60년대생 15% 대비 높아

[사진 출처=연합뉴스]

[사진 출처=연합뉴스]

은퇴를 눈앞에 둔 1960년대생들보다 1970년대생 베이비부머들(1970~1974년생)이 건강과 노후, 돌봄에 대해 더 부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970년대생 베이부머들은 부모와 자신은 물론 자녀에 대해서도 부양 부담을 느끼는 ‘삼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8일 재단법인 ‘돌봄과미래’에 따르면 1970년대생 베이비부머 25%가 부모와 자녀를 동시에 부양하고 있다. 1960년대생의 15%와 비교해 10%포인트 높은 수치다. 1960년대생의 43%, 1970년대생의 76%가 자녀에게 경제적인 지원을 하고 있었다. 자녀 부양에 지출하는 금액은 1960년대생의 경우 월평균 88만 원, 1970년대생은 월평균 107만 원을 지출하고 있었다. 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에 대해 ‘부담스럽다’라는 응답은 1960년대생 46%, 1970년대생 57%로 1970년대생의 절반 이상이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는 돌봄과미래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1960~1974년생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한 결과다.

부모 부양의 경우 1970년대생의 42%가 부모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으며 월평균 62만 원을 지출하고 있다. 이는 1960년대생의 73만 원보다 낮은 금액이지만 부담감은 오히려 더 크게 느끼고 있었다. 1970년대생의 48%가 ‘부모 부양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반면, 1960년대생은 33%만이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다.

노후 준비도 1970년대생의 상황은 더욱 불안정했다. 1970년대생의 56%가 현재 일자리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으며, 91%가 연금 수령 전 노후 소득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는 응답도 50%에 그쳐, 1960년대생의 62%보다 낮았다. 또 1970년대생의 39%만이 공적 연금이 노후 주요 소득원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건강 측면에서도 1970년대생은 더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신체 건강이 좋다고 응답한 비율이 40%로 1960년대생의 51%보다 낮았으며 정신 건강도 62%만이 좋다고 답해 1960년대생의 75%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다. 기대수명도 83.3년으로 1960년대생의 85.6년보다 짧았고, 비건강수명은 10.5년으로 1960년대생의 9.0년보다 길었다.

돌봄서비스에 대한 인식도 주목할 만하다. 양 세대 모두 52%가 노년에 돌봄이 필요할 때 자신의 집에서 살기를 원했으며, 노인요양시설에 대해서는 50% 이상이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실제 입소 의향은 30%대에 그쳤다. 1970년대생의 85%는 현재 우리나라의 돌봄서비스가 부족하다고 인식했으며, 91%가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김용익 재단법인 돌봄과미래 이사장은 “앞으로 10년여에 걸쳐 1960년대생, 1970년대생 베이비부머들이 대거 은퇴를 함에 따라 돌봄 수요가 폭발할 것이 예상된다”며 “하지만 이들은 과거 노인과는 다른 사회적 경험을 한 새로운 돌봄 세대로 기존의 돌봄 정책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들에 맞춘 장기적 돌봄 정책의 연구와 개발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