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자수 가사’ 47년 만에 복원 공개[청계천 옆 사진관]

15 hours ago 2

서산대사, 사명대사 가사까지…국내 최대 규모 불교 자수공예 특별전

‘실로 새긴 불교의 염원이 세상 밖으로 나왔다’. 서울공예박물관은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특별전 ‘염원을 담아-실로 새겨 부처에 이르다’를 2일부터 개최했다. 이번 전시는 국내 최초로 불교 자수공예를 주제로 한 최대 규모 전시로, 약 1500년 동안 이어져 온 ‘가사 작법’의 미감과 정신을 조명했다.

2일 서울 종로구 서울공예박물관에서 열린 ‘염원을 담아-실로 새겨 부처에 이르다’ 전시장 내부.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2일 서울 종로구 서울공예박물관에서 열린 ‘염원을 담아-실로 새겨 부처에 이르다’ 전시장 내부.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2일 서울공예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한 관람객이 임진왜란 때 승병을 일으켜 나라를 위기에서 구한 사명대사가 입었던  장삼을 살펴보고 있다.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2일 서울공예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한 관람객이 임진왜란 때 승병을 일으켜 나라를 위기에서 구한 사명대사가 입었던 장삼을 살펴보고 있다.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서산대사가 사용한 옥으로 된  발우와 염주 그리고 신발.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서산대사가 사용한 옥으로 된 발우와 염주 그리고 신발.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47년 만에 복원돼 일반에 공개된 보물 ‘자수가사’.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47년 만에 복원돼 일반에 공개된 보물 ‘자수가사’.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전시에는 국보·보물급을 포함한 총 55점의 유물이 공개되었다, 이 중 국내 불교 자수공예 중 29점이 국가 지정문화재다. 특히 대흥사, 수덕사 등 전국 9개 사찰이 소장한 비공개 유물도 눈길을 끌고 있다. 가장 주목받는 유물은 47년 만에 복원돼 공개되는 보물 ‘자수가사’로, 오색실로 부처와 보살, 경전이 정밀하게 수놓아진 19세기 작품이다.

지상스님의 가사. 현재 전통가사연구원장 겸 도편수로 가사 제작을 총괄하고 있다.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지상스님의 가사. 현재 전통가사연구원장 겸 도편수로 가사 제작을 총괄하고 있다.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전남 나주 심향사 성오 스님의 가사. 가사 뒷면에는 땀을 세어가며 표현한 통문을 살펴볼 수 있다.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전남 나주 심향사 성오 스님의 가사. 가사 뒷면에는 땀을 세어가며 표현한 통문을 살펴볼 수 있다.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가사 장인 명천 스님의 가사. 이 가사는 초록색 비단 바탕에 자주색 테두리를 덧댄 9조 첩상가사이다.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가사 장인 명천 스님의 가사. 이 가사는 초록색 비단 바탕에 자주색 테두리를 덧댄 9조 첩상가사이다.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이 외에도 서산대사와 사명대사의 가사, 조선 태종 때 제작된 ‘연당문 자수 사경보’ 등 불교공예와 역사가 만나는 상징적 유물들이 소개된다. 전시에서는 무형문화유산인 ‘가사 작법’ 전통을 조명하고, 스님들이 출연한 영상과 현대 장인들의 작품도 가까이서 관람할 수 있다.전시 기간 중 시민 참여 프로그램과 가사 장인 명천 스님의 강연도 예정돼 있다. 한편, 전시 1동 로비와 야외에서는 연등회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5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도 함께 열린다. 전시는 오는 7월 27일까지 3층 기획전시실에서 계속된다.

청계천 옆 사진관 >

구독

이런 구독물도 추천합니다!

  • 오늘의 운세

    오늘의 운세

  • HBR insight

    HBR insight

  • 이기홍 칼럼

    이기홍 칼럼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