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여파로 인한 계절 주기 변화가 유통업계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봄·가을이 짧아지고 여름이 길어지며 관련 상품 매출은 물론 영업 방식도 변하고 있다.
16일 백화점 업계에 따르면 올해 2~3월 롯데백화점의 패션 카테고리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비슷한 수준에 머물렀다. 같은 기간 신세계백화점은 0.9%, 현대백화점은 0.2% 증가에 그쳤다. 역성장은 면했지만 6~7%대 성장을 보이던 예년과 비교했을 때 부진한 성적이다.
백화점 업계의 봄철 부진엔 예년 같지 않은 날씨가 원인으로 꼽힌다. 매년 2~3월은 봄 간절기 상품 판매 시즌으로 통상 2월에 판매가 시작돼 3월에 매출이 정점에 이른다. 하지만 올해는 봄답지 않은 쌀쌀한 날씨가 이어지며 봄옷 수요가 급감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불황으로 소비심리가 내려앉은 마당에 쌀쌀한 날씨가 이어지며 봄옷 판매량이 움츠러들었다”고 말했다.
백화점 업체는 계절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을 고심하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지난해 말 주요 패션 협력사 15개사와 자사 패션 바이어로 구성된 ‘기후변화 태스크포스(TF)’를 조직하고 기존의 시즌별 판매 전략을 재점검하고 있다. 여름 상품 물량을 늘리고 봄·가을 상품 비중을 축소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롯데와 신세계도 기존 4계절로 구분된 상품 전략을 수정하는 등 대응 방안을 마련 중이다.봄옷 판매는 부진한 반면 무덥고 긴 더위가 예고되자 냉방 가전 판매는 급증하고 있다. 이날 롯데하이마트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에어컨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50% 늘었다. 에어컨을 미리 청소하려는 수요가 몰리며 지난달 클리닝 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10배나 늘었다.
롯데하이마트는 급증하는 수요에 맞춰 올해 에어컨 판매 물량을 지난해보다 45% 확대하기로 했다. 일부 브랜드의 사전 예약 기간을 지난해보다 5주 당기고 행사 기간도 2배 늘릴 예정이다.
정서영 기자 cero@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