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업 공시 늘었지만…금융주 랠리는 '글쎄'

1 day ago 2

올해 초 급격히 줄었던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공시 기업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졌는데도 공시가 늘어난 데 대해 주주환원이 거스르기 힘든 트렌드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공매도 자금이 메리츠금융지주 등 ‘밸류업 모범생’을 겨냥하면서 지난해와 같은 ‘금융주 랠리’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많다.

◇“밸류업 동력 상실 우려는 사라져”

밸류업 공시 늘었지만…금융주 랠리는 '글쎄'

2일 한국거래소 상장공시시스템(KIND)에 따르면 지난달 밸류업 공시는 본공시와 예고공시를 합쳐 20건이었다. 전달(16건) 대비 4건 늘었다. 유가증권시장에선 셀트리온 삼양식품 현대건설 등 13건이 공시됐다. 코스닥시장에선 컴투스 에스에프에이 등 7건이었다.

밸류업 공시 기업 수는 지난해 10월(24건), 11월(34건), 12월(39건) 연속 증가했다가 올해 1월 8건으로 뚝 떨어졌다. 연초부터 밸류업 공시를 내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계엄 사태’와 맞물려 수치가 급감하자 밸류업 정책이 동력을 잃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극도로 커진 최근 밸류업 공시가 되레 늘어나자 주주환원은 정치적 상황과 관계가 없다는 인식이 자리 잡기 시작했다는 평가가 제기된다. 한 경제단체 관계자는 “기업도 밸류업 공시를 하면서 눈치를 보는 시기는 지났다고 판단하는 분위기”라며 “올해 주주총회 시즌이 끝난 만큼 상반기까지 관련 공시가 많이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도 기업에 밸류업 정책의 지속성을 강조하고 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달 28일 대한상공회의소 금융산업위원들을 만나 “밸류업 우수 기업에 대한 세제 인센티브가 국회에서 빨리 통과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 역시 지난 2월부터 밸류업 정책 설명회를 이어가고 있다.

◇공매도 타깃 된 ‘모범생 메리츠’

지난해 밸류업 정책으로 크게 올랐다가 계엄 사태 이후 조정받은 금융주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KB금융은 작년 말 계엄 사태 이전까지 87% 뛰었지만 이후 이날까지 20.5% 하락했다.

다만 이번주부터 전면 재개된 공매도가 변수란 지적이 나온다. 일부 금융주가 공매도 ‘타깃’이 되면서 지난해와 같은 상승세가 가능하겠느냐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작년에만 76% 오른 ‘밸류업 모범생’ 메리츠금융지주가 대표적이다. 메리츠금융지주는 당기순이익의 50% 이상을 자사주 소각과 배당 등 주주환원에 쓰고 있다. 순이익 대비 주주환원 규모가 다른 금융사(평균 30%대)보다 훨씬 크다. 하지만 주가가 크게 오르자 공매도 타깃이 됐다.

메리츠금융지주의 공매도 재개 후 3일간 거래량 중 24.6%가 공매도 거래였다. 유가증권시장 전체 상장사 중 아홉 번째로 높은 비중이다. 모건스탠리, JP모간 등 외국계 창구가 가장 많은 매도 주문을 처리해 외국인 투자자가 공매도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메리츠금융지주 주가는 이번주 3일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하나금융지주도 전체 거래 중 21.5%가 공매도 거래되며 상위 20위에 올랐다. 외화 자산이 많은 하나금융지주는 다른 금융사 대비 고환율에 취약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공매도 금지 이전과 달리 달러당 1400원대 환율이 ‘뉴 노멀’로 자리 잡으며 외국인이 공매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지난해 금융주가 상승 일변도 흐름을 탄 것은 공매도가 금지된 영향도 있다”며 “공매도가 재개되면서 작년 같은 흐름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시은/박한신 기자 see@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