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관세율 145%보단 낮을것…불확실성 정점은 지나”

1 day ago 2

"中의존도 높은 고부가가치 소비재에 해당 세율 불가"
"개별품목 관세만 혹은 최종생산지 품목별 차등 부과 전망"

  • 등록 2025-04-15 오전 8:12:30

    수정 2025-04-15 오전 8:12:30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트럼프 행정부의 반도체 품목 관세 유예에 비추어 보면 중국 의존도가 높은 고부부가치 소비재 품목에는 145%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관세율 상단을 가늠할 수 있어 불확실성의 정점은 지났다는 평가가 나왔다. 코스피 지수는 지난 2일 나타났던 갭 하락을 메우며 2500선을 회복할 수 있지만 추세반등은 아니어서 종목 장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사진=로이터)

김지현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15일 보고서를 통해 “5일부터 스마트폰, 노트북, 아이폰, 아이패드 등은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125% 상호관세, 나머지 국가들에 대한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원은 “이는 애플 같은 주요 기업과 노트북, 스마트폰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가격 충격 완화를 위한 조치”라며 “중국 의존도가 높은 고부가가치 소비재 품목에는 145%에 달하는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반도체 관련 품목은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와 같이 개별품목 관세만 적용 받거나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기 위해 중국, 중국의 우회 수출지, 우방국 등을 구분해 최종생산지 국가별, 품목별 차등적으로 부과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김 연구원은 “반도체 관련 품목들에 대해서는 최대세율 145% 대비로는 낮은 실효세율을 적용받을 것이란 기대가 타당하며 국가별 상호관세율 공개 시점부터 시장에서 불확실성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던 관세율 상단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에 불확실성은 정점은 지났다”고 평가했다.

그는 “반도체 품목별 관세 공개 및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주목해야 하는 동향은 국내 가전, 스마트폰향 기판 등 업체들의 공장이 위치한 인도, 베트남 등에서의 생산 확대 및 최종 수출지 변경 움직임과 베트남, 대만, 한국, 인도와 미국의 협상 경과, IT세트 풀인 수요 발생 여부”라고 짚었다.

김 연구원은 “지수단에서 지난 2일 나타났던 갭 하락은 메우면서 2500선 회복이 가능하다”며 “다만 추세반등은 아니며 반도체의 경우 대형주 중심 대응, 주도주 조선, 방산, 관세에 중립적인 실적주 바이오, 의료기기를 선호한다”고 제시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