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소라 "재생의료 시장 확대…글로벌 허브로 도약"

3 days ago 6

박소라 "재생의료 시장 확대…글로벌 허브로 도약"

“지금이 한국 재생의료가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허브로 도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박소라 재생의료진흥재단 원장(사진)은 11일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첨생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한국 재생의료산업이 본격적인 전환점을 맞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재생의료진흥재단은 보건복지부 산하 ‘첨단재생의료 지원 기관’이다. 2021년 국내 첨단재생의료 기술 진흥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정책 개발 지원 등 사업을 추진하고자 설립했다.

한국은 지난 2월 21일 첨생법 개정안 시행으로 재생의료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박 원장은 “첨생법 개정안은 치료 목적 재생의료 제공을 본격적으로 허용하면서도 초기부터 정부 주도 심사와 안전 관리 체계를 구축한 점이 특징”이라며 “아직 세계 다른 국가에서도 재생의료 제도를 다듬어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첨생법을 잘 활용하면 한국이 재생의료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일본은 한국보다 앞서 2014년부터 재생의료 관련 법제를 정비하며 아시아 재생의료 허브 자리를 넘보고 있다. 임상연구와 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구조를 일찍부터 도입했고, 의료기관과 기업의 진입 문턱을 낮췄다.

박 원장은 한국 재생의료는 현장에서 기술을 적용하는 병원과 이를 지원하는 기업 간에 긴밀한 협업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임상연구 확대는 단순히 제도적 기반만으로 가능하지 않다”며 “치료 효과의 객관적 검증, 장기 추적 데이터 확보, 맞춤형 치료법 개발 등에서 병원과 기업 간 유기적 협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세포 처리 시설, 바이오 소재 공급, 물류, 자동화 기기 개발 등 후방산업과의 연계도 필수 요소로 꼽았다. 재생의료는 살아 있는 세포와 조직을 기반으로 치료가 이뤄지는 만큼 현장에서 사용하는 배양기, 세포 보관 장비 등 다양한 후방 기술이 뒷받침돼야 한다. 박 원장은 “병원-기업-후방산업 간 협업 체계가 제대로 갖춰지면 한국이 아시아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림 기자 youforest@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