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낸스 "고팍스 인수 포기는 없다…피해자 구제에 최선" [현장+]

11 hours ago 3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0간담회실에서 '고팍스 피해자 구제방안 세미나'가 개최됐다. / 사진=손민 블루밍비트 기자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0간담회실에서 '고팍스 피해자 구제방안 세미나'가 개최됐다. / 사진=손민 블루밍비트 기자

'고팍스 사태' 피해자 구제 방안을 위한 국회 세미나가 개최된 가운데, 피해자와 고팍스, 바이낸스 관계자들이 한목소리로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의 빠른 인수 허가(임원 변경 신고 수리)를 촉구했다.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0간담회실에서는 '고팍스 피해자 구제 방안 세미나'가 열렸다. 박민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동 주최한 이번 세미나는 업계의 목소리를 수렴하고, 피해자 구제를 위한 본격적 논의를 시작하기 위해 개최됐다.

앞서 고팍스는 고객이 가상자산(암호화폐)을 맡기면 이자를 주는 예치 서비스 '고파이'를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지난 2022년 운용사인 제네시스 글로벌 캐피털이 파산하면서 수천 명의 투자자가 1000억 원 상당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했다. 이후 바이낸스가 고팍스의 최대 주주로 올라서며 피해자 구제를 약속했지만, 아직 FIU의 '임원 변경 신고 수리'가 이뤄지지 않아 구제에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자신을 '고팍스 사태' 피해자라고 밝힌 정모씨는 "고팍스는 피해자 구제를 위해 바이낸스와 산업 회복 기금(IRI) 투자 협약을 체결하고, 2023년 2월 임원 변경 신고 수리를 FIU에 제출했다"라면서도 "당국은 1년 4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묵묵부답인 상황이다. 정부가 나서서 피해자 구제를 막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현재 피해자들은 일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없는 상태"라며 FIU의 조속한 인수 허가를 촉구했다.

또 다른 피해자 배모씨 역시 "고파이 피해로 인해 전 재산을 잃었다. 하지만 가장 억울한 점은 당국의 대처"라며 "잘못된 행정을 바로잡아 이 문제를 하루빨리 해결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고팍스 "FIU, 근거 없이 인수 수리 거부"

8일 조영중 고팍스 대표이사가 '고팍스 피해자 구제방안 세미나'에서 임원 변경 신고 수리를 촉구하고 있다. / 사진=고팍스 제공

8일 조영중 고팍스 대표이사가 '고팍스 피해자 구제방안 세미나'에서 임원 변경 신고 수리를 촉구하고 있다. / 사진=고팍스 제공
조영중 고팍스 대표이사 역시 FIU의 행보에 불만을 표하며, 빠른 조치를 촉구했다.

조 대표는 "현행법에 따르면 바이낸스의 고팍스 인수는 문제가 없다. FIU가 아무런 답변도 없이 임원 변경 신고 수리를 거부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해외에 있는 기업이 한국 기업을 인수하고, 도의적 책임감에 의해 국내 피해자를 위한 지원 의사를 밝혔음에도 이를 묵인하는 이유를 모르겠다"라며 "피해자를 구제할 방안은 이미 현실화됐다. 제발 법대로만 조치해달라"라고 피력했다.

아울러 인수 절차를 위해서라면 당국의 어떤 요구에도 적극 협조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고팍스 인수와 관련해) 자금 세탁 우려가 있다면, 당국에 모든 것을 공개하겠다"라며 "당국 관계자가 365일 상주하며 감시 해도 좋다"라고 밝혔다.

바이낸스 "인수 의지 여전…피해자 구제 책임감 느껴"

8일 스티브 영 킴 바이낸스 이사가 '고팍스 피해자 구제방안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손민 블루밍비트 기자

8일 스티브 영 킴 바이낸스 이사가 '고팍스 피해자 구제방안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손민 블루밍비트 기자

바이낸스 역시 고팍스 인수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히며, 피해자와 끝까지 함께 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스티브 영 킴(Steve Young Kim) 바이낸스 이사는 "바이낸스가 고팍스 인수를 결정했을 때 상업적 계산은 들어가지 않았다"라며 "(인수 허가가 늦춰지고 있지만) 포기하지 않고, 피해자분들과 함께하려 한다"라고 밝혔다.

바이낸스 창업자와 경영진도 피해자 회복에 진심이라고 부연했다. 김 이사는 "바이낸스 창업자들은 산업의 리더로서 피해자 보상에 최선을 다하자는 생각을 가지고 인수 협상을 진행했다. 시간이 흐르며 피해액이 커지긴 했지만, 여전히 창업자와 경영진은 피해자 구제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끝으로 인수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의지도 밝혔다. 그는 "회사의 업무가 아닌 가족의 사건인 것처럼 피해자분들에게 공감이 된다"라며 "부디 다가오는 정부에서는 이런 아픔들을 살펴봐 달라. 당국이 부족한 부분을 말씀해 주시면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블록체인·가상자산(코인) 투자 정보 플랫폼(앱) '블루밍비트'에서 더 많은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손민 블루밍비트 기자 sonmin@bloomingbit.io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