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관세 졸속협상 말라" 한덕수 직격

5 day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에 대한 재탄핵을 보류하기로 결정하면서, 이는 정치적 체급 상승과 보수세력 결집 우려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한 대행의 최근 행보에 대한 공세를 지속하고 있지만, 대선 국면으로 인해 재탄핵 가능성은 낮아진 상황이다.

한편, 국회 법사위에서는 최상목 경제부총리와 관련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으며, 민주당은 최 부총리의 행위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한대행 차출론에 경계심 고조
"관세, 美와 예비협의만 해야"
재탄핵 카드 아끼며 경고장
법사위선 최상목 탄핵 청문회
휴대폰 변경 번복에 위증논란
崔 "마은혁 임명 노력했다"

◆ 2025 대선 레이스 ◆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이 16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최 부총리 탄핵소추사건 조사 청문회에 출석해 눈을 질끈 감고 있다. 옆자리에는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오른쪽부터)이 배석해 있다.  뉴스1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이 16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최 부총리 탄핵소추사건 조사 청문회에 출석해 눈을 질끈 감고 있다. 옆자리에는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오른쪽부터)이 배석해 있다. 뉴스1

더불어민주당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 대한 재탄핵 카드를 일단 서랍 안에 보관하기로 결정했다.

한 대행 '대망론'이 급속히 번지는 상황에서 민주당의 재탄핵 시도가 오히려 한 대행의 정치적 체급을 키워주거나 보수세력 결집을 돕는 결과로 이어질 거란 우려 때문이다. 민주당의 탄핵 공세에 대한 국민적 피로감으로 인해 대선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민주당은 한 대행의 최근 행보를 두고 "미국과 관세 졸속협상에 나서는 것 아니냐"고 공세를 퍼부으며 구두 압박에 나섰다.

노종면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16일 "오늘 의원총회에서 한 대행 탄핵 얘기는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민주당이 이날 의총에서 한 대행 탄핵을 논의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 바 있다. 한 대행이 이완규·함상훈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지명한 것을 '위헌적 월권행위'로 규정하고 재탄핵 추진을 검토한 것이다.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탄핵 추진을)여전히 논의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고 여운을 남겼지만 정국이 대선 국면으로 전환되면서 재탄핵은 물 건너갔다는 전망이 나온다.

실제로 당내에서는 그간 한 대행에 대한 '재탄핵'에 반대하는 의견도 꾸준히 제기됐던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민주당이 한 대행의 출마 가능성을 경계하는 흐름은 관찰된다. 미국과 관세 협상은 새 정부에 넘기라는 주장이 대표적인 사례다.

김민석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한 대행이 출마 명분을 만들기 위해 민주당 재탄핵을 유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 대행이 대권용 성과를 만드는 차원에서 졸속으로 대미 관세 협상을 진행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파면된 대통령의 잔여 내각인 한덕수 대행체제는 성실한 예비 협의가 최대"라며 "미국 전략을 파악하고 잘못된 주장에 반론하는 예비협의 입무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놓고 난타전이 벌어졌다. 민주당은 최 부총리에 대한 탄핵안을 제출했으나 본회의 의결 없이 법사위로 돌려보낸 바 있다.

이날은 비상계엄 이후 최 부총리의 휴대전화 변경 여부를 두고 고성이 오갔다. 김용민 민주당 의원이 최 부총리에게 "비상계엄 이후 휴대전화를 교체했냐"고 묻자 최 부총리는 "교체한 적이 없다"고 답했다. 그러자 정청래 법사위원장은 민주당 장경태 의원실이 통신사로부터 확보한 자료를 근거로 "2024년 12월 7일에 핸드폰 기기를 바꾼 것으로 나온다"며 "이 자료가 잘못된 것인가"라고 재차 물었다. 그러자 최 부총리는 "정확히 날짜를 기억하지 못했지만, 핸드폰이 고장 나서 지금 새 핸드폰을 쓰고 있다"며 "고장 난 핸드폰도 갖고 있다"고 했다.

그러자 정 위원장은 "이건 분명한 위증"이라고 주장했고 민주당 의원들은 "사과하라"고 소리쳤다. 이에 국민의힘은 "증인을 협박하지 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 부총리는 "정확한 날짜를 기억하지 못 하고 있었다"며 "위증한 건 전혀 없다. 오해를 불러일으켜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수습에 나섰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질문의 핵심은 휴대전화과 관련해 비상계엄 이후로 증거인멸용으로 (휴대전화를) 없앤 적 있느냐고 물어본 것"이라며 "휴대전화가 고장 나서 바꾼 것이고 바꾼 휴대전화를 그대로 가지고 있으니 증거인멸 의도로 교체한 게 아니라는 취지 아니냐"고 반발했다.

최 부총리의 미국 국채 투자도 도마에 올랐다. 민주당이 최 부총리의 미국채 보유를 지적하자 최 부총리는 "2018년 민간인 신분일 때부터 가지고 있던 외화예금을 외화국채로 바꾸는 소극적인 포트폴리오 운영을 금융기관에서 추천해서 산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환율 변동과는 관련이 없다. 제가 꼼꼼히 챙기지 못했다"고 유감을 표했다.

민주당은 최 부총리가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았던 점을 집중 비난했다. 박희승 의원은 "헌법재판소는 재판관 전원의 일치된 의견으로 '마 재판관을 임명하지 않은 부작위는 헌법이 부여한 국회 구성권을 침해한다'는 의견을 냈다"며 "결국 최 부총리가 헌법기관을 형해화시키는 행위를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최 부총리는 "처음에 정계선, 조한창 두 분을 임명할 때 많은 국무위원이 반발했다"며 "국무회의도 헌법기관이고, 헌법기관이 작동하도록 하는 것도 제 임무 중 하나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마 재판관을) 임명하려고 노력했다"며 "제 전임자였던 한 권한대행이 여야 합의를 요구했기 때문에 존중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홍혜진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