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일 주고받은 인도-파키스탄…‘물 전쟁’도 갈등에 한몫

14 hours ago 1

7일(현지 시간) 파키스탄 하이데라바드에서 인도의 미사일 공격에 분노한 시민들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사진과 인도 국기를 발로 밟고 있다. 이날 인도가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등에 미사일을 발사해 26명이 숨졌다. 파키스탄도 즉각 인도령 카슈미르 등에서 미사일 보복 공격에 나서 10명이 사망했다. 사실상 핵 보유국인 두 나라의 무력 충돌이 전면전 직전으로 치닫고 있다. 하이데라바드=AP 뉴시스

7일(현지 시간) 파키스탄 하이데라바드에서 인도의 미사일 공격에 분노한 시민들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사진과 인도 국기를 발로 밟고 있다. 이날 인도가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등에 미사일을 발사해 26명이 숨졌다. 파키스탄도 즉각 인도령 카슈미르 등에서 미사일 보복 공격에 나서 10명이 사망했다. 사실상 핵 보유국인 두 나라의 무력 충돌이 전면전 직전으로 치닫고 있다. 하이데라바드=AP 뉴시스
지난달 22일(현지 시간)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발생한 총기 테러를 계기로 국경지대에서 소규모 교전을 벌여 온 인도와 파키스탄이 7일 미사일 공격을 주고받아 한국 시간 오후 8시 기준 130명(사망자 36명, 부상자 94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양국이 영유권 분쟁지역인 카슈미르에서 대규모 무력 충돌에 들어간 건 6년 만이다. 테러 발생 뒤 물 공급 중단, 핵공격 위협 등으로 높아진 양국 간 갈등 수위가 전면전 직전으로 치닫고 있는 것. 사실상 핵보유국인 두 나라의 무력 충돌에 국제사회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 양국 미사일 공격 주고 받아

7일 AP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새벽 인도군은 파키스탄령 카슈미르와 펀자브주(州)의 9곳을 미사일로 타격하는 ‘신두르 작전’을 단행했다. 이에 파키스탄 군당국도 인도 내 목표물에 보복 미사일 공격을 가했다고 파키스탄 매체 사마TV가 전했다. 파키스탄군은 “인도군 전투기 5기를 격추했다”고도 밝혔다. 현재 양국은 사실상의 국경인 실질통제선(LoC) 곳곳에서 국지전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파키스탄 보안당국(ISPR)은 인도군이 파키스탄령 6곳에 미사일을 발사해 어린이를 포함한 민간인 26명이 숨지고 46명이 다쳤다고 발표했다. 셰바즈 샤리프 파키스탄 총리는 안보 내각을 소집한 뒤 X에 “파키스탄은 인도의 전쟁 행위에 강력히 대응할 모든 권리를 가졌고, 현재 강력한 대응을 하고 있다”고 썼다. 인도 정부는 파키스탄의 보복 공격으로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10명이 숨지고, 48명이 다쳤다고 발표했다.

● 카슈미르 영유권 분쟁에 ‘물 전쟁’ 가세

인도군이 미사일 공격 작전명으로 쓴 ‘신두르’는 결혼한 인도 여성이 얼굴에 바르는 붉은 분을 뜻한다.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총기 테러 당시 눈앞에서 남편을 잃은 인도 여성을 대신해 복수한다는 의미가 담겼다. 그간 인도는 카슈미르에서 이슬람 무장단체를 지원해 온 파키스탄에 테러 책임이 있다며 보복을 예고했다. 특히 인도는 세계은행 중재로 1960년 파키스탄과 체결한 ‘인더스강 조약’의 효력 중단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6일 인더스강 지류인 체나브강 물줄기를 막았고, 파키스탄은 핵전쟁까지 거론하며 반발했다. 파키스탄은 인도에서 발원하는 인더스강에 전체 수자원의 80%를 의존하고 있어 인더스강이 막히면 심각한 물 부족 사태를 겪을 수밖에 없다.

카슈미르 지역은 1947년, 1965년 각각 발발한 양국 간 전쟁에 이어 이번 무력충돌에도 도화선이 됐다. 이는 1947년 영국에서 양국이 독립할 당시 카슈미르 지역 주민 다수가 무슬림(이슬람 신자)이었던 반면, 지배층은 힌두교도였던 역사적 연원에 따른 것이다. 2019년 3월에도 인도령 카슈미르의 풀와마에서 자살폭탄 테러가 벌어져 인도 경찰 41명이 숨졌다. ● 양국, 경제난에 전면전 피할 듯

다만, 양국 간 전면전 발발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경제위기에 처한 파키스탄은 전쟁을 피하겠다는 뜻을 밝혀 왔다”고 전했다. 파키스탄으로선 군사력 차이도 전면전을 꺼리게 되는 요인이다. 인도는 항공모함 2척과 군용 항공기 2296대를 운용하지만, 파키스탄은 항공모함이 없고 군용 항공기도 절반(1434대)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인도도 최근 미국의 고관세 부과로 인한 부담 가중 등 경제회복이 시급한 상황이다. 인도 정부는 미사일 공격 뒤 “우리의 행동은 집중적이고 절제돼 있으며 확전 방지를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파키스탄 측은 인도 군이 이번 미사일 공격시 인더스강 지류이자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닐럼강의 수력발전 시설인 노세리댐 등 민간 시설도 공격했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한편 인도와 국경 갈등을 빚어 온 중국은 7일 외교부 발표를 통해 “인도의 군사 행동에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파키스탄은 인도 견제를 위해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해 왔다. 2013년 파키스탄은 남부의 전략 요충지이며 인도양과 접해 있는 과다르항의 개발 및 운영권을 중국에 내주기도 했다.

임현석 기자 lhs@donga.com
이지윤 기자 asap@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