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북 회담' 무산…트럼프 "어느 시점 金 만날 것"

7 hours ago 2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가능성이 거론되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깜짝 회동’이 29일 무산됐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언젠간 북한 문제에 관여하겠다”며 북핵 등 대북 관계에 지속해서 개입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 대통령은 이날 경주예술의전당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한 한·미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 진심을 제대로 다 수용하지 못해 (미·북 회동이) 불발됐다”며 미·북 회담 불발을 공식화했다. 이어 “대통령께서 김 위원장과의 면담을 요청하고 언제든 받아들일 수 있다고 말씀하신 것 그 자체만으로도 한반도에 상당한 평화의 온기를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 또한 씨앗이 돼 한반도에 거대한 평화의 물결을 만드는 단초가 될 것이라 생각하고 우리로서는 큰 기대를 가지고 대통령의 활동을 지켜보겠다”며 “위대한 역량이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키는 큰 업적으로 남으면 대통령께서도 세계사적으로 큰일을 이루시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 대한민국 국민들로서도 정말 오래된 큰 문제를 해결하는 큰 성과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번에 시간이 잘 안 맞아 (미·북 회담을) 못 했다”고 밝혔다. 그는 “김정은과 노력해 모든 것이 해결되게 하겠다”며 “그게 당연히 옳은 결과, ‘상식(common sense)’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난 한반도에서 여러분(남북)이 공식적으로 전쟁 상태라는 것을 알고 있으며 그 모든 것을 바로잡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보겠다”며 한반도 정세 안정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북한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하기 몇 시간 전에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전날 순항미사일 발사 사실을 공개했다. 이 소식을 접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일본에서 출발해 한국으로 향하는 전용기 안에서 “우리는 서로를 정말 잘 이해하고 있다. 어느 시점에는 그를 만날 것”이라며 “나는 중국에도 집중하고 싶다. 이제 우리의 초점은 내일(미·중 정상회담)”이라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순방 기간 30일까지 예정된 방한 일정을 늘려서라도 김정은과 만나고 싶다고 여러 차례 밝힌 가운데 북한은 이날 오전까지 아무런 응답을 내놓지 않았다.

경주=배성수 기자 baebae@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