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마켓PRO 텔레그램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텔레그렘에서 ‘마켓PRO’를 검색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이충헌 밸류파인더 대표
인공지능(AI) 시대가 우리 곁으로 성큼 도래했다. 챗GPT뿐 아니라 최근에는 지브리를 통한 ‘프사’ 광풍이 불고 있다. AI 반도체는 눈 앞에 보이진 않으나, AI 반도체가 있어 우리의 생활에 큰 변화를 주고 있는 셈이다. 국내 유일 AI 반도체 칩 테스트 하우스인 아이텍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국내기업 : 아이텍에 주목
동사는 2005년 설립, 2010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반도체 테스트를 전문으로 생산·제조하는 업체다. 반도체 테스트는 제조 공정상 제일 마지막 단계에 해당한다. 반도체 칩의 양품 여부를 판별해 어느 공정이 문제인지 구별한다. 메모리반도체를 포함한 반도체 시장 中 약 70%를 차지하는 시스템반도체 테스트(웨이퍼/패키지/번인/SLT테스트)가 주요 사업이며, 연간 생산능력은 매출액 기준 약 550억원이다.
국내외 160개 이상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팹리스 업체인 텔레칩스 동운아나텍 넥스트칩 아나패스 LG전자뿐 아니라 디자인하우스 업체인 에이직랜드 에이디테크놀로지 가온칩스도 동사 주요 고객사다. 2020년부터 미국 대만 중국에 판매 사무소를 설립했으며, 미국 2개사, 중국 3개사, 일본 1개사와 현재 협업을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동사 2024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619억원(+18.6%, YoY), 영업 손실 48억원(적자지속), 당기순이익 200억원(흑자전환)을 기록했다. 연결 기준 영업손실을 기록했지만, 반도체 본업인 개별 기준으로 보면 매출액 389억원(+12.1%, YoY), 영업이익 19억원(흑자전환), 당기순이익 127억원(흑자전환)을 기록했다.
테스트 하우스는 팹리스나 디자인하우스쪽 칩 개발부터 같이 들어간다. 칩 개발 후에 파운드리 업체에 생산을 맡기고, 테스트 후 엔드유저에게 보내거나 팹리스·디자인하우스로 보낸 후 내보내는 구조다. 이를테면 국내에는 다수의 AI 반도체 팹리스 회사가 있고, 그 회사와 협업 하는 디자인하우스 업체와 파운드리 회사가 있는 셈이다.
모든 반도체는 웨이퍼 테스트 후 패키징 테스트로 넘어간 뒤에야 테스트가 마무리된다. 그러나 AI 반도체, 차량용 반도체 중 5나노 이하로 내려가면 실장테스트(SLT·System Level Test)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웨이퍼 테스트는 프로브 카드 위에 핀을 내려 테스트 하는 것이다. 패키징 테스트는 칩마다 패키징해서 테스트를 하는 것인데, 여기까지 진행시 불량률이 95%가 걸러진다. 남은 5%는 실제 보드 모든 칩에 장착 후 보드에서 테스트를 진행한다. 동사는 보유한 기술력과 레퍼런스를 통해 현재 AI용 반도체 검사도 가능한 상황이다.
AI 반도체를 테스트 하기 위해서는 최신 테스터인 System level TEST 핸들러가 필요하다. 전세계 AI 칩 팹리스 기업 중 엔비디아를 포함한 80% 이상이 그들의 AI 칩 테스트를 위해 ‘V93K-PS5000’을 사용하고 있다. 동사는 2022년도에 국내 테스트 하우스 중 최초로 ‘V93K-PS5000’을 2대 도입해 운영중이다. 증가되는 고사양의 차량용 반도체와 AI 반도체 수요에 따라 올해 1대 추가 도입, 2026년도에는 5대까지 추가 도입할 예정인 것으로 파악된다.
높은 전력 소모량을 가진 AI 반도체를 테스트 하기 위해서는 ATC(Auto Thermal Control) 기능을 가진 핸들러가 반드시 필요하다. AI 반도체를 테스트하거나 구동하는 동안 높은 전력 소모로 인해 칩 내부에 심한 발열이 발생한다. 칩을 발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핸들러에서 특정 온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125도 아래로 계속 낮춰주지 못하면 칩은 파열된다. 동사는 ATC 기능을 가진 System Level TEST 핸들러를 2024년에 도입해 AI 반도체 양산 적용중에 있다.
① 향후 고성장이 가능한 적용 산업군: 시스템반도체
동사 주력 사업인 반도체 테스트 사업에서 가장 성장성이 기대되는 방향은 팹리스와 디자인하우스향이다. 기존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독점한 시장이었으나, 최근에는 팹리스와 디자인하우스 회사들이 많아진 상황 덕분이다. 시장조사자료에 따르면 반도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시스템반도체 산업 성장은 향후 AI 반도체와 차량용 반도체가 주도할 전망이다. 2025년에는 약 48.8%, 2028년에는 약 63.1%에 달할 전망이다. 시스템반도체 산업은 전공정에서의 미세화로 인해 패키징 중심의 후공정 기업 기술이 점차 부각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초미세 선단 공정 수요 대부분을 차지하는 AI 반도체는 현재 글로벌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엔비디아의 범용 GPU 칩에서 점차 주문형 반도체(ASIC)로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② 향후 고성장이 가능한 적용 산업군: 차량용 및 자율주행 반도체 산업
시스템반도체 산업만큼 부각받을 수 있는 산업은 차량용반도체 산업이다. 결국 자율주행 차량과도 연결되기 때문이다. 포천 비즈니스 인사이트 자료에 따르면, 2024년 920억달러에서 2029년 1714억달러로 고성장을 전망했다. 자율주행차량은 현재 내연기관 차량 대비 더 많은 반도체를 필요로 할 뿐 아니라, 고사양 반도체가 더 추가될 것이라는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결국 성능 개선을 위한 테스트의 중요성이 부각될 것으로 판단된다.
오버행 이슈는 큰 우려 없는 상황
현재 동사는 삼성메디코스 매각 금액(329억원)을 포함해 약 1100억원의 풍부한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전일 시가총액 약 84%에 달하는 수준이다. 2023년과 2024년 발행한 CB의 경우 4회 차는 138억원 동사가 취득한 상황으로 잔여 CB는 총 약 268억원(4회차 63억원 + 5회차 205억 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 중 5회차는 다음달 4월부터 전환청구가 가능하다. 이미 현금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혹시 모를 풋옵션 행사가 있더라도 상환 문제는 크게 우려될 수준으로 아니라고 판단된다. 전환가액보다 주가가 상회하고 있다는 점에서 어떻게 진행될지는 지속 살펴볼 필요가 있다. 동사는 올해 본업에서도 꾸준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타 자회사들에 대한 매각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보유한 현금은 반도체 장비 매입에 투입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