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구잡이 어구로 망가진 바다, 살아난다…‘어구견인제’ 내년부터 시행

2 days ago 3

[세종=이데일리 김미영 기자] 내년부터는 불법·무허가로 설치돼 방치 어구가 발견되면 현장에서 즉시 철거한다. 어업인의 어구 사용과 폐어구 처리의 자율적 관리 강화를 위해 어구관리기록부 작성과 보관은 의무화된다.

해양수산부는 14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수산업법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개정법은 공포 후 1년 뒤부터 시행된다.

이번 개정안은 방치된 불법 어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해양환경 보호와 수산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법적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해 9월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된 ‘폐어구의 발생예방을 어구순환관리 대책’의 후속조치다.

먼저 불법·무허가 방치 어구를 현장에서 즉시 철거하는 ‘(가칭)어구견인제’가 도입된다. 그간 불법 어구 철거 시 행정대집행법에 따른 복잡한 절차로 실효성이 미흡했으나, 행정대집행법의 적용 특례제도를 마련해 신속한 철거집행을 가능케 했다. 특히 허가 없이 설치된 어구뿐만 아니라 어구 사용량 제한 및 조업 금지구역·기간 위반하거나 어구실명제를 준수하지 않은 어구도 철거 대상이다.

어업인의 어구 사용과 폐어구 처리의 자율적 관리 강화를 위해 어구관리기록부 작성과 보관은 의무화했다. 폐어구 발생량이 많은 특정 어업 종사자는 어구의 사용, 보관, 폐기 및 유실 현황을 상세히 기록한 ‘어구관리기록부’를 작성해야 하며, 이를 어선에 비치하고 최소 3년간 보관해야 한다.

조업 중 유실한 어구를 신고하는 제도도 신설한다. 일정 규모 이상의 어구를 유실한 경우, 어업인은 반드시 해수부·지자체 또는 해양경찰청장에게 신고해야 한다. 어구관리기록부를 작성·비치·보존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작성, 유실어구를 신고하지 않은 사람은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이와 함께 소상공인·자영업자의 경영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어구 생산업·판매업의 신고를 기존 ‘수리가 필요한 신고’에서 ‘수리가 필요 없는 신고’로 전환하여 신고만으로 바로 영업 등을 할 수 있도록 규제를 바꿨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개정된 법률이 원활하게 시행될 수 있도록 하위법령을 적기에 마련해 불법 어구 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해양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수산업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변화되는 제도가 잘 정착될 수 있도록 어업인을 대상으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할 예정으로, 어업인들의 적극적인 협조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