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에서 일하던 20대 직원이 과로사했다는 의혹이 확산하는 가운데, 일부 의사들이 "우리도 주 100시간씩 일한다"며 "선택적 공감이 역겹다"는 반응을 보이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29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런던 베이글 과로사 기사에 본인들이 더 힘들다고 주장하는 의사들'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의사로 추정되는 누리꾼 A 씨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주 80시간 과로사가 이렇게 이슈될 일인가? 물론 돌아가신 분이야 안타깝고, 산재 받았으면 좋겠다. 하지만 주 100시간씩 일하면서 '처단한다'는 협박을 듣고 있는 직종도 있다"고 썼다.
그는 "자영업자들도 물론 (근무 시간이) 주 80시간을 넘을 거다. 거기에 사람마다 역치가 다르다고 주장하는 건 오버라고 생각한다"라면서 "선택적 공감이 역겹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다른 의사들도 "법적으로 주 52시간 초과 근무가 가능한 직업은 전공의뿐이다. 심하면 주 130시간도 일했는데 그 상한을 주 80시간으로 정해둔 게 불과 몇 년 전이지만, 일선 현장에선 지키고 있는지 모르겠다", "젊은 의사들은 다 주 80시간 이상 일한다", "전공의 근무 환경은 아무도 관심 안 가지면서 베이커리만 이슈가 되냐"는 반응을 보였다.
이외에도 "물론 기저질환 있는 분들에게는 과로가 악화 요인일 수는 있겠지만 그걸 직접적인 사망 원인이라고 하려면 대한민국 전공의는 다 죽었어야 한다", "2019년 주 105시간 근무 후 당직실에서 숨진 소아과 전공의가 떠오른다. 선택적 공감이라는 말이 참담하다" 등 댓글이 이어졌다.
전국전공의노동조합 조사에 따르면, 전공의의 53.1%가 주 72시간 이상, 27.8%는 주 80시간 초과 근무하고 있으며, 3.3%는 주 104시간 이상 일한다고 답했다. 전체의 77.2%는 '과다 근무로 건강 악화를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지난해 전공의 파업을 주도한 박단 전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은 "대부분 전공의는 법상 상한인 80시간을 초과해, 심지어 100시간에 달하는 노동을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의사들의 '공감 불가' 반응은 대중의 공분을 사고 있다. 누리꾼들은 "사람 늘려준다니까 게거품 물더니 이제 와서 힘들다고 하냐", "그럼 의사 그만두라", "힘든 건 알겠지만 남의 죽음을 비교 대상으로 삼는 건 선 넘었다", "사회는 연결돼 있다. 이런 이슈가 제도 개선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데 연대해라" 등 비판을 쏟아냈다.
한 누리꾼은 "젊은 사람이 일하다 죽었는데 그게 경쟁 대상이 되나", "나도 의사지만 저건 공감 능력의 문제다", "본인들도 힘들다고 파업해놓고 남의 과로엔 비아냥이냐"고 꼬집기도 했다.
고용노동부는 이날 런던베이글뮤지엄 인천점과 서울 종로 본사를 대상으로 근로감독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장시간 노동, 임금체불, 휴가 부여 여부 등 노동관계법 전반을 점검하며, 위법 사항이 드러날 경우 전국 5개 지점으로 감독을 확대할 방침이다.
김영훈 노동부 장관은 "유명 베이글 카페에서 미래를 꿈꾸던 청년이 생을 마감한 것이 너무 가슴 아프다"며 "법 위반이 확인되면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런던베이글뮤지엄 인천점 직원 A(26) 씨는 지난 7월 16일 회사 숙소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유족은 "A 씨가 신규 지점 개업 준비와 운영 업무를 병행하며 주 80시간 이상 근무했다"고 주장했다. 최근 세 달간 평균 근로 시간도 60시간을 넘었다는 것이다.
회사 측은 "주 80시간 근무는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으나, 내부 '입단속' 정황이 드러나자 사과문을 게재했다. 강광규 대표는 "부족한 대응으로 유족에게 상처와 실망을 드려 깊이 반성한다"며 "사실이 명확히 밝혀질 수 있도록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

12 hours ago
2









![엄지성 이어 조규성·이한범도 포스텍 울렸다! 미트윌란, 노팅엄 원정서 3-2 승리…포스텍의 노팅엄, ‘패패무무패패’ 멸망 [유로파리그]](https://pimg.mk.co.kr/news/cms/202510/03/news-p.v1.20251003.f2964094c0e0447f84af28c5f48d0e9a_R.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