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른 PMF : 창업자가 더 잘 소통하기 위한 Personality–Message Fit 프레임워크

1 day ago 4

  • 창업자가 자신의 자연스러운 말투·기질·표현 방식을 기반으로 메시지를 조정해 전달 효과를 높이는 접근법을 제시하며, 리더십을 특정한 스타일에 맞추려는 관념에서 벗어나는 것을 강조
  • 개인의 기질·습관·기본 표현 패턴을 점검하는 내부 감사(Internal Audit) 를 통해 어떤 상황에서 자연스럽고 어떤 상황에서 에너지가 소모되는지 파악하는 과정이 필요함
  • 즉흥적 말하기에서 발생하는 혼선을 줄이기 위해 30초 사전 준비 습관을 들이고, 이상적 결과·수신자·핵심 포인트 등을 짧게 정리해 메시지를 구조화함
  • 실제 대화·회의 현장에서 반응을 관찰하고 조정하는 ‘읽기(Read the room)’ 능력, 그리고 모호한 피드백을 구체화하는 피드백 해석(Decoding) 역량이 중요
  • 창업자가 가진 고유한 ‘스파이크(Spiky Opinion)’ 는 회사의 방향성과 메시지의 힘을 강화하는 자산이며, 이를 다듬어 명확한 관점과 설득력을 만드는 것이 핵심

Personality: 내부에서 시작하는 메시지 적합성 찾기

  • 웨스 카오는 리더십이 특정한 ‘정답의 모습’을 따라가는 방식이 아니라 자기 성향을 기반으로 메시지를 조정하는 것에서 출발한다고 강조함
    • Maven 공동창업 이후 자신의 자연스러운 스타일과 회사 문화가 맞아떨어지면서 이 관점을 정립
    • 리더십·카리스마·진정성 같은 추상적 개념보다 실제 행동 방식에 맞는 전략이 중요함
  • 내부 감사(Internal Audit)

    • 자연스러운 표현 방식, 말투, 기질을 먼저 파악해 자신이 어떻게 보이는지의 기본선(baseline) 을 확인하는 과정
      • 농담이 편한지, 데이터 중심인지, 얌전한지, 에너지가 넘치는지 등 상황별 자연스러운 패턴을 점검
      • 감정 표현이 적은 사람이라면 억지 감정 표현 대신 언어적 강도(“정말 신난다”) 를 높이는 식으로 다른 레버를 활용
    • 역할이 시간 흐름에 따라 본래 강점에서 벗어났는지 점검할 수 있음
      • 에너지가 생기는 업무와 에너지를 소모하는 업무를 기록하며 소진 전 조정 포인트를 발견할 수 있음
    • 반듯한 구조가 필요하지 않고, 스트림 오브 컨셔스니스 글쓰기·프로젝트 후 자가 점검 등으로도 충분함
      • 강한 감정이 드는 순간을 ‘신호’로 삼아 어떤 요소가 자신에게 맞고 맞지 않는지 파악
  • 30초 준비 습관

    • 대부분의 소통 문제는 준비 부족에서 발생함
      • 짧은 미팅·Slack 통화에서도 몇 초간 목표를 생각하면 전달력이 크게 달라짐
    • 준비 시 자문할 질문들
      • 이상적 결과는 무엇인가
      • 상대는 누구이며 무엇을 중요하게 보는가
      • 내 핵심 포인트와 보조 포인트는 무엇인가
      • 이해관계자는 누구인가
      • 어떤 민감 요소가 있는가
    • 목표에서 거꾸로 접근하여 상대의 사고 프레임에 맞춘 메시지 구성이 필요함
      • 예: CEO가 CAC 측정 방식을 받아들이게 하려면 CEO가 이미 중요하게 여기는 관점 아래서 설명할 때 효과적임

Message: 현장에서 조율해 맞추는 메시지

  • Read the Room: 반응 관찰하기

    • ‘눈치가 타고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반복적 관찰을 통해 기르는 기술
      • 반응이 원하는 방향인지 체크하고, 아니면 다음에 다르게 시도함
      • 톤·순서·프레이밍을 바꿔보며 A/B 테스트처럼 접근함
    • 명시적 피드백뿐 아니라 암묵적 피드백(표정·몸짓·에너지 변화) 을 읽어야 함
      • 사람들이 문제를 말하기 전 이미 여러 신호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음
  • 피드백 해석(Feedback Decoding)

    • “전략적으로 말해라” 같은 모호한 조언은 바로 수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구체 예시를 요청해 분해해야 함
      • “이 상황에서의 내 행동은 전략적이었는가?”, “전략적으로 본 동료의 예시는?” 등으로 계속 추적함
      • 리더가 바로 답하기 어려워도 간접 질문으로 구체적 패턴을 끌어낼 수 있음
    • 정리된 예시를 통해 구체적으로 바꿔야 할 행동 지도를 얻을 수 있음
      • 예: 크로노로지컬하게 설명하던 패턴을 바꾸고, “지금 논의할 주제와 필요한 결정”을 먼저 제시하는 식의 구조 전환

Own Your Spike: 자신의 날카로운 부분을 자산으로 만들기

  • 창업자는 강한 의견과 집착을 가진 존재이며, 고유한/날카로운 관점(spiky opinion) 은 리더십의 중요한 자산임
    • 단순한 논란 유도나 과장된 포즈가 아니라, 경험 기반의 독특한 시각과 논리적 근거가 필요한 부분임
  • 강한 감정 반응(“짜증난다”, “너무 흥미롭다”)이 드는 주제에서 가장 설득력 있는 메시지가 나옴
    • 이는 사람들이 이미 아는 내용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사고 전환을 일으키는 콘텐츠로 이어짐
  • 다만 반복적으로 문제가 된다는 피드백이 있을 경우, 그 부분을 유지할지 수정할지는 책임지고 선택해야 함
    • 누군가 지적할 때는 이미 오랫동안 누적된 경우가 많다는 점을 유념해야 함

핵심 정리

  • Personality–Message Fit은 ‘자기다운 방식’을 중심에 두고 메시지를 조정하는 전략적 소통 프레임워크
  • 내부적으로는 자신의 기질·패턴을 점검해 기본선을 이해하고, 외부적으로는 반응·피드백을 기반으로 메시지를 실험하며 맞춤화함
  • 창업자의 독특한 관점(spike)은 오히려 메시지의 힘을 강화하는 요소이며, 이를 정제하는 과정이 리더십의 중요한 축임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