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月평균 서울 136만·경기 123만원
전년에 비해 최대 13.7% 비용 상승
강경숙 의원·사걱세 현황 전수조사
이른바 영어유치원(유아 대상 영어학원) 학원비가 1년 새 크게 올라 연간 최대 16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4년제 대학 연평균 등록금(710만원)의 두 배가 넘지만 조기 영어 사교육 열풍 속에 영어유치원 시장 규모는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더욱 커지고 있다. 영어유치원 하루평균 교습 시간은 중학교 1학년 수업 시간보다 길게 나타났다.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과 교육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걱세)은 서울시교육청과 경기도교육청의 학원 및 교습소 등록정보 등을 토대로 지난달 서울과 경기 5개 지역(고양·안양·성남·용인·화성)의 반일제 이상 영어유치원 현황을 전수조사한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서울의 월평균 학원비는 지난해 135만6천원으로, 2023년(131만원)보다 3.5%(4만6천원) 올랐다. 특히 강서·양천 지역은 10.4%, 서부 지역 12.7%, 성북·강북 지역은 13.4%가 올랐다.
서울의 영어유치원 월평균 학원비는 지난해 135만6000원으로 전년 대비 3.5% 올랐다. 특히 강서·양천 지역은 10.4%, 서부 지역 12.7%, 성북·강북 지역은 13.4%로 10%가 넘는 인상률을 보였다.
경기 5개 지역의 영어유치원 월평균 학원비는 2023년 111만4000원에서 2024년 122만7000원으로 1년 사이 11만원 넘게 올랐다. 인상률은 10.1%로 서울의 3배에 달했다. 용인이 13.7%로 가장 높은 인상률을 보였다.
월평균 학원비에는 교습비와 교재 등 재료비, 급식비, 기숙사비, 차량비 등이 포함됐다. 방과 후 프로그램 등 추가 비용은 학원비 집계에서 제외돼 실제 학부모가 부담하는 총비용은 더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사걱세는 “서울과 경기 5개 지역 영어유치원 학원비를 연간으로 계산하면 1476만원에서 1632만원에 달한다”며 “유아 1명당 1500만원의 영어 사교육비가 지출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은 유아 대상 영어학원 수와 개설반 수가 전반적으로 감소했지만 지역별 편차가 컸다.
지난해 서울 유아 대상 영어학원 수는 299곳으로 전년 대비 34곳 줄었다. 개설반 수도 10개 감소한 623개로 집계됐다. 다만 강남·서초 지역은 학원 수가 94곳에서 84곳으로 10곳 줄었지만 개설반 수는 오히려 165개에서 181개로 늘었다.
경기도는 학원 수가 119곳으로 3곳 줄었지만, 개설반 수는 376개로 무려 101개 늘었다. 특히 안양은 개설반 수가 22개에서 116개로 94개나 증가했다. 사걱세는 “소규모 학원은 점차 시장에서 퇴출되고 경쟁력을 갖춘 대형 학원이 여러 반을 운영하며 시장을 주도하는 구조로 재편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한편 하루평균 교습 시간을 보면 서울 영어유치원은 5시간24분, 경기 5개 지역은 5시간8분으로 초등학교 1·2학년 하루평균 수업 시간(3시간20분)보다 2시간가량 긴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중학교 1학년 하루평균 수업 시간(4시간57분)보다도 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