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미란 미국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은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 출신으로 40대다. 도널드 트럼프 1기 때 재무부에서 경제정책 자문관을 지냈다. 블룸버그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미란을 CEA 위원장에 추천한 인사 중 한 명이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었다고 보도했다. 작년 2월께 베선트 장관이 트럼프 선거 캠페인을 돕기 위해 준비하며 미란을 찾았고, 두 사람의 의견이 여러 면에서 일치했다는 것이다.
두 사람이 비슷한 견해를 보이는 대표적인 분야가 관세 정책이다.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정부 출범 전부터 ‘단계적인 관세 부과’를 강조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시장이 적응할 시간을 벌 수 있고, 상대국에 대한 압박 강도가 더 높아질 것이라는 신호를 보내 빠른 협상을 가능하게 한다는 구상이다. 미란의 생각도 이와 일치한다.
미란은 또 미국이 궁극적으로 우호적인 국가(동맹국), 중립적인 국가, 비우호적인 국가(적국)를 나눠 서로 다른 통상·안보 정책을 적용해야 한다는 구상을 했다. 그는 작년 11월 내놓은 ‘미란 보고서’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달러의 기축통화로서의 부담을 동맹국과 나누는 시나리오를 추진한다면 “우방과 적, 중립적 거래 파트너의 경계가 훨씬 명확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보 우산과 경제적 이익을 공유하는 우방국은 더 많은 부담을 져야 하지만 더 유리한 무역·통화 조건을 누릴 수 있고, 그 밖의 국가는 관세와 기타 정책을 통해 부담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베선트 장관도 이런 관점을 공유하고 있다. 그는 지난해 10월 이코노미스트지 기고에서 “안보와 경제를 더 긴밀히 연결해야 한다”며 “미국의 안보 보장과 시장 접근은 동맹국의 안보 지출 증가, 경제 구조조정 약속과 연계돼야 하며 미국의 이익에 부합하도록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워싱턴=이상은 특파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