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보 30분 내에서 생활편의와 여가, 돌봄, 학습, 공공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서울형 보행일상권’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서울시는 종로구 평창·부암동과 성동구 금호·옥수동 등 8곳에서 시범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지난 9일 서울형 보행일상권 사업의 시범 대상지를 선정했다고 22일 밝혔다. 평창·부암(종로구), 금호·옥수(성동구), 청량리(동대문구), 신길(영등포구), 정릉(성북구), 수유(강북구), 홍제(서대문구), 양재(서초구) 등 8곳이다. 지역적 특성과 권역별 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는 설명이다.
보행일상권이란 멀리 이동하지 않고도 주거지 인근에서 다양한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자족적 생활권을 뜻한다. 2022년 3월 발표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처음 제시된 개념이다. 주거용도 위주로 형성돼 있는 서울의 일상생활 공간을 전면 개편해, 시민 삶의 질을 한층 높이겠다는 게 서울시 구상이다.
서울시는 작년부터 용역을 시행해 보행일상권 개념을 n분도시 이론을 바탕으로 구체화했다. 7개 분야 40여개의 보행일상권 필수시설을 도출했다. 생활편의, 공공·의료, 여가, 돌봄시설 등이 포함됐다.
서울시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역세권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한 보행일상권 조성 계획 ▲보행일상권 내 필수시설 확충 계획 ▲접근성 향상을 위한 생활가로의 네트워크 구축 방안 등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오는 9월까지 ‘보행일상권 조성계획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향후 공급 방안과 관련해선 공공시설의 경우 기부채납이나 공공기금 등을 활용할 방침이다. 민간시설은 지구단위계획 내 권장 용도를 유도하는 방식이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영유아나 노인 등 특정 인구집단이 밀집된 지역에선 인구 특성에 맞는 필수시설 확충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시범사업은 서울형 보행일상권을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계”라며 “앞으로 서울 전역에 100개 이상의 '작지만 강한' 자족형 생활권을 순차적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