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상황에서도 대통령실 고위 참모진들은 자리를 지키면서 국정 공백을 최소화할 것으로 보인다.
5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대통령실 고위 참모진 대다수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를 보좌하면서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에도 차기 정부 출범 전까지 자리를 지킬 전망이다.
앞서 정진석 비서실장과 성태윤 정책실장,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등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이상 고위 참모진은 전날 한 권한대행에게 일괄 사의를 표명했다.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에 대한 정치적 책임을 지겠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그러나 한 권한대행은 사표를 반려했다. 고위 참모진이 일괄 사퇴할 경우 국정 운영에 심각한 혼선이 빚어질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총리실은 "현재 경제와 안보 등 엄중한 상황 하에서 한 치의 국정 공백도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시급한 현안 업무를 차질 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대통령실 수석비서관들은 대통령실에 잔류해 한 권한대행을 보좌하고 국정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다할 전망이다.
현재 정부가 직면한 주요 과제로는, 대외적으로는 미국의 대중(對中) 25% 상호관세 조치 등 외교·통상 현안이 있고, 대내적으로는 대형 산불 피해 복구 등 긴급한 민생 과제가 있다.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하면 정책 라인을 중심으로 한 참모진의 잔류는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비서관 이하의 일부 참모들은 여당으로 복귀해 조기 대선을 지원하거나 대통령 기록물 이관과 인수인계 업무를 마무리하는 시점에 맞춰 대통령실을 떠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상당수는 한 권한대행 체제에 남아 국정운영을 보좌할 것으로 예상된다.
헌재의 탄핵 인용에 따라 60일 이내에 대통령 선거가 치러진다. 당선인은 별도의 인수위원회 없이 곧바로 임기를 시작한다. 기존 비서관급 참모들은 일정 기간 대통령실에 잔류하면서 새 정부 참모진에게 업무를 인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될 전망이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