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고율의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미국이 경기침체에 진입할 위험이 커졌다는 경고가 월가에서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경제가 관세 정책으로 인해 더 강해질 것이라는 주장을 되풀이했다.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JP모건체이스의 마이클 페롤리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전날 투자자 노트에서 "상호관세가 올해 인플레이션을 1.5%포인트 올릴 수 있는 반면 개인소득과 소비지출을 억누를 수 있다"며 "이 효과만으로도 미국 경제를 위험할 정도로 침체에 가까워지게 할 수 있다"라고 진단했다.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상호관세의 평균 실효세율이 23% 이상이라고 평가하면서 이 같은 관세율은 보호무역주의가 득세했던 1차 세계대전 발발 이전 시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조너선 핑글 UBS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상호관세 여파로 미국 경제가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내는 기술적 침체에 빠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핑글 이코노미스트는 "경기 확장세는 이미 둔화하고 있었고, 재정지원은 약해지고 있었으며, 소비 강도도 축소되고 있었다"며 상호관세 발표 이전에 이미 미국 경제에 대한 신뢰가 약화 징후를 보이고 있었다고 진단했다.
뉴욕증시가 추가 하락을 이어갈 것이란 경고도 나왔다. 로리 칼바시나가 이끄는 RBC캐피털마켓츠의 주식전략팀은 상호관세 여파로 S&P500 지수가 4900∼5300으로 추가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지난 2월 고점 대비 낙폭이 최대 20%에 이를 수 있다는 얘기다.
월가에서 비관론이 득세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수술이 끝났다. 환자는 살았고 회복 중"이라고 적었다. 이어 "환자가 이전에 비해 더 훨씬 더 강하고, 더 크고, 더 좋고, 더 회복력이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백악관에서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로 출발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아주 잘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시장이 호황을 누리고, 주식이 호황을 누리고, 국가가 호황을 누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