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진성매각 논란 딛고…저축銀, 3차 PF 정상화 펀드 ‘추진’

1 day ago 2

저축은행 업계, 3차 부동산 PF 정상화 펀드 추진
작년 상반기 1·2차 펀드, 진성매각 논란일면서 멈춰
저축은행 PF 익스포져 15.4조…유의·부실우려만 4.4조
“펀드 기준 등 당국과 협의해 우려 없는 형태로 조성”

  • 등록 2025-01-16 오후 4:29:51

    수정 2025-01-16 오후 6:49:55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저축은행 업계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채권을 정리하기 위한 3차 정상화 펀드 조성에 나선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부실 PF 경공매에 집중한 저축은행 업계는 시장에서 소화하지 못하는 PF 채권을 정리하기 위해 자체 펀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16일 이데일리의 취재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는 올해 저축은행업계가 부동산PF 관련 부실채권을 매각하기 위해 3차 정상화 펀드를 추진한다. 저축은행업계가 부실 PF 채권을 매각하기 위한 펀드를 조성한 건 지난해 상반기 이후 반년만이다.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새해 들어 금융당국에 펀드 조성 필요성을 건의했고 당국과 협의를 진행할 계획으로 아직 구체적은 규모 등은 정해지지 않았다”며 “일부 저축은행의 정상화 펀드가 진성매각 우려가 있었던 만큼 당국과 펀드 기준 등을 협의해 우려를 불식할 수 있는 모양의 펀드를 조성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저축은행은 지난 3월 330억원 규모의 1차 펀드를 조성했고, 지난 5월에는 5000억원 규모의 2차 펀드를 조성했다. 2차 펀드는 애초 2000억원 수준으로 조성할 예정이었으나 펀드투자에 참여하는 저축은행이 27곳으로 늘어나 규모가 2배 확대했다. 부실채권 매각 압박이 강해지는 상황에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의 매수가격이 기대에 한참 미치지 못하자 정상화 펀드로 투자금이 몰렸기 때문이다.

애초 업계는 지난해 3분기에 3차 펀드를 조성해 추가 매각에 나설 계획이었다. 그러나 금감원이 경공매를 통한 부실채권 정리에 집중해달라고 요청했다. 펀드 출자 저축은행이 펀드를 자신의 부실채권 매각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고 본 것이다. 금감원은 2차 펀드 가운데 2300억원 규모의 펀드는 출자 저축은행의 채권매각 비중이 전체의 80% 이상인 것을 문제 삼았다.

이에 업계는 지난해 하반기 3차 펀드 조성을 멈추고 부실 부동산 PF 경·공매에 집중하기로 했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1·2차 펀드에 대한 진성 매각 여부를 두고 논란이 일면서 하반기는 경·공매에 집중하려고 했지만 부실 PF 채권에 대한 시장 수요가 없어 정리에 어려움을 겪었다”며 “시장에서 소화하지 못하는 PF 채권을 정리하기 위해선 펀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시 모아졌다”고 전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저축은행 업계의 부동산 PF 익스포져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15조 4000억원이다. 2023년 말(22조 1000억원) 대비 6조 7000억원이 줄었다. 종류별로 본 PF 5조 8000억원, 브리지론 2조 1000억원, 토지담보대출 7조 5000억원 등이다. 또 저축은행 업계의 부동산 PF 익스포져 중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유의·부실 우려 PF는 4조4000억원 수준이다.

한편, 부동산 PF 부실화의 영향으로 건전성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축은행 업계는 자체 NPL 전문회사 설립도 추진하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 산하에 세워지는 NPL사는 저축은행이 보유한 NPL을 사들인 뒤 추심·매각 등을 통해 정리하는 역할을 담당할 전망이다.

중앙회는 설립 시점 5억원으로 시작해 올해 안으로 NPL사의 자본금을 1000억원까지 불리는 것이 목표다. 5억원은 NPL사 설립에 필요한 최소 자본금으로, 자본금이 1000억원으로 확대되면 NPL사가 매입할 수 있는 NPL 규모는 1조원이다.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PF뿐 아니라 다른 업권과 마찬가지로 부실 법인채권과 개인채권 등을 매각할 수 있는 전문회사가 중장기적으로 필요하다”며 “자본금 등 조달 방안부터 검토하고 있는 단계다”고 설명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