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어지는 졸업·구직…“20대 10명 중 7명, 상반기 입사 지원 안 해”

5 hours ago 2

19일 서울 동작구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에서 학생들이 축제를 즐기고 있다. 2025.05.19. [서울=뉴시스]

19일 서울 동작구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에서 학생들이 축제를 즐기고 있다. 2025.05.19. [서울=뉴시스]
20대의 10명 중 7명은 올해 상반기에 입사 지원을 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5일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에 따르면, 20대 1470명을 대상으로 2025년 상반기 취업 지원 실태를 조사한 결과, 71%가 상반기에 입사 지원을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했다고 답한 비율은 29%에 그쳤다.

지원하지 않은 이유로는 ‘재학 중(71%)’이 가장 많았는데, 해당 응답자들의 평균 연령은 20대 중반에서 많게는 후반까지 나타났다.

휴학, 전공 변경, 대학원 준비 등으로 졸업과 취업 시기를 늦추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아직 준비가 부족하다고 느껴서’가 15%로 뒤를 이었고, 이외에 ▲조건에 맞는 공고가 없어서(5%) ▲졸업했지만 쉬고 싶어서(5%) ▲희망 기업에서 채용을 진행하지 않아서(3%) 등의 응답이 있었다.

상반기에 입사 지원을 한 응답자의 평균 지원 기업 수는 9곳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5곳 이하’로 지원한 경우가 55%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합격률을 높이기 위해 최대한 많이 지원하기보다는 희망하는 소수의 기업만 선별해 지원하는 모습을 보였다.이러한 경향은 ‘지원 성향’에서도 드러났다. 직무만 맞으면 최대한 많은 기업에 지원하는 ‘최대 지원’ 전략은 35%에 그쳤다.

이에 반해 일정 기준 이상이면 지원하는 ‘선별 지원(38%)’과 오직 희망 기업만 지원하는 ‘소신 지원(27%)’이 합쳐서 65%로 과반을 넘었다.

지원한 기업의 초봉 수준을 살펴보면 ‘3000만 원 이상 4000만 원 미만’이 41%로 가장 많았고, 이어 ‘4000만 원 이상 5000만 원 미만’이 26%, ‘3000만 원 미만’이 22%로 조사됐다.

‘5000만 원 이상’인 기업에 지원한 비율도 11%를 기록, 전반적으로 3000만 원 이상 수준의 연봉을 선호하는 경향이 확인됐다.

김정현 진학사 캐치 본부장은 “입사 전 접할 수 있는 정보가 다양해지면서 자신에게 맞는 기업을 꼼꼼히 살펴보고, 늦어지더라도 신중하게 지원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진다”며 “기업 입장에서는 연봉, 복지, 문화 등 강점 요인을 명확히 알리고 어필하는 전략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