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신경쟁 탈락, 차라리 자퇴하고 수능 올인”...강남3구, 학업중단율 서울 최고

1 day ago 3

사회

“내신경쟁 탈락, 차라리 자퇴하고 수능 올인”...강남3구, 학업중단율 서울 최고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의 일반고에서 학업 중단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남·서초·송파구 등 '강남 3구'로, 이 지역의 중단율은 각각 2.7%, 2.7%, 2.1%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내신 성적 압박을 느끼고 자퇴 후 수능 위주로 대학 진학을 시도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내신 5등급제가 도입됨에 따라 향후 학업 중단율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강남·서초구 2.7%로 가장 높아
한 학년당 6~8명 꼴...더 증가할 듯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00일인 지난 4일 서울 마포구 종로학원 강북본원에 ‘수능 ’D-100‘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이충우기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00일인 지난 4일 서울 마포구 종로학원 강북본원에 ‘수능 ’D-100‘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이충우기자]

서울에서 일반고 재학 중 학교를 그만두는 학생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남·서초·송파구 등 이른바 ‘강남 3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신 성적에서 불리하다고 판단한 학생들이 수능 위주 전략을 택하며 자퇴를 선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10일 한국교육개발원이 발표한 행정구역별 학업중단율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일반고 중 강남구와 서초구의 학업중단율은 각각 2.7%로 가장 높았고, 송파구가 2.1%로 뒤를 이었다. 이는 재학생 100명 중 최소 2명이 중도에 학교를 떠난다는 의미로, 한 학년 300명 규모의 학교라면 학년별로 평균 6~8명이 공교육을 포기하는 셈이다.

강남 3구의 학업중단율은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상승했다. 강남구는 2021년 1.4%에서 2022년 1.9%, 2023년 2.2%로 오른 뒤 지난해 2.7%를 기록했다. 서초구 역시 2021년 1.3%에서 2022년 2.4%로 급등했고, 2023년 1.8%로 잠시 낮아졌으나 지난해 다시 2.7%로 뛰었다. 송파구는 2021년 1.0%, 2022년 1.6%였지만 2023년과 2024년 연속 2.1%를 기록하며 2%대에 진입했다.

이 같은 증가세의 주요 원인은 내신 경쟁 압박이다. 한 번 시험에서 성적이 하락하면 회복이 어려운 구조 속에서 일부 학생들은 학교를 떠나 검정고시를 거친 뒤 수능 성적만으로 대학 진학을 시도하고 있다. 실제로 올해 서울대·고려대·연세대 신입생 중 검정고시 출신은 259명으로, 전년 대비 37% 늘어나며 최근 8년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고1부터 적용된 내신 5등급제가 향후 학업중단율을 더 끌어올릴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5등급제에서는 상위 10% 안에 들지 못하면 바로 2등급(11~34%)으로 내려간다”며 “1학기 성적에서 1등급을 놓친 학생들의 자퇴 고민이 더욱 깊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