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불황 속 '생존율 90%' 창업 종목은 무엇?

7 hours ago 1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게티이미지뱅크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게티이미지뱅크

내수 불황 속 문을 닫는 자영업자가 속출하는 가운데 자영업 10곳 중 6곳은 창업 5년 이내에 폐점하고 있다. 통신판매업·분식점·치킨·피자집 등은 생존율이 낮았으며 미용실·펜션·학원 등의 생존율은 최고 수준을 경신했다.

국세청은 최근 5년(2019∼2023년)간 100대 생활업종 통계를 분석해 창업 후 사업을 지속하는 비율, 즉 생존율 통계를 29일 국세 통계 포털에 공개했다. 100대 생활업종은 일상생활에 밀접한 품목 또는 용역을 판매하는 소매업, 음식·숙박업 등을 의미한다.

이에 따르면 100대 생활업종의 1년 생존율은 2023년 기준 77.9%이었다. 2019년에서 2022년까지 상승세를 보이다가 2023년에 다소 하락했다. 3년 생존율은 2023년 기준 53.8%로 나타났다. 5년 생존율은 39.6%였다. 창업하고 3년 뒤 살아남은 사업자는 절반, 5년 후에는 10명 중 4명만이 사업을 유지하고 있었다.

100대 업종 중 신규 사업자 수가 많은 상위 20개 업종 중 1년 생존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미용실(91.1%)이었다. 이어 펜션·게스트하우스(90.8%), 편의점(90.3%) 등의 순이다. 통신판매업(69.8%)과 화장품 가게(74.2%), 식료품 가게(77.3%)는 생존율이 낮았다. 각각 30.2%, 25.8%, 22.7%가 창업 후 1년 내 폐업한 것이다.

3년 생존율 역시 미용실(73.4%)과 펜션·게스트하우스(73.1%)가 높았다. 교습학원(70.1%)도 70%를 웃돌았다. 100대 생활업종 3년 생존율 평균(53.8%)보다 크게 높았다. 3년 생존율이 낮은 업종은 통신판매업(45.7%)과 분식점(46.6%), 치킨·피자집 등 패스트푸드점(46.8%) 순이었다.

동네 상권 대표 업종들의 생존율도 편차를 보였다. 제과점이 58.5%로 가장 높았고, 이어 커피음료점 53.2%, 피자·햄버거전문점 51.0%, 치킨전문점 45.4% 순으로 나타났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