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 리포트] 삶의 온기 전하는 쪽방촌 무료급식소
세상과의 소통 창구 역할 톡톡… 외로움-무기력 벗어나는 계기로
후원-봉사로만 운영되는 탓에, 경제 불황 등 겹치면 수급 불안
주민들 ‘먹을 권리’ 보장 어려워
전문가들 “식사는 삶 재건과 연결… 사회 재활적 측면에서 지원 필요”
《설 명절 앞둔 무료급식소 가보니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에는 한파 속 강추위도 녹이는 무료 급식소가 있다. 경기 불황에 후원이나 봉사자들의 발길이 주춤할 때도 있지만, 쪽방촌 급식소 내에 스며든 삶의 온기는 변함이 없다.
13일 오전 6시. 해가 채 뜨기도 전이었지만 서울 용산구 동자동의 무료급식소 ‘아침애만나’ 주방에서는 벌써부터 뜨겁고 뽀얀 김이 솟아오르고 있었다.
자원봉사자들은 이날 아침 식사 메뉴인 단팥죽과 야채죽을 만드느라 분주히 움직였다. 이곳은 이랜드복지재단이 동자동 쪽방촌 주민들과 서울역 근처 노숙인 등을 위해 운영하는 무료급식소다.오전 7시가 되자 급식소 1층 28개 좌석이 이용자들로 가득 찼다. 46개 좌석이 있는 2층에도 사람들이 하나둘 차면서 금세 급식소에 활기가 돌았다.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두꺼운 겨울 패딩을 입고 모자를 쓰고 있었지만 드물게 그렇지 않은 이들도 있었다. 겨울옷을 미처 챙기지 못했는지 반팔에 반바지, 어깨 한쪽이 훤히 드러난 티셔츠를 입고 급식소를 찾은 이들이 있었다. 추위에 붉어진 이들의 피부가 한눈에 들어왔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밥은 선택이나 취향의 문제다. 일이 바쁘면 가끔 거르기도 하고 맛이 좋기로 유명한 식당을 찾아다니는 것은 보편적인 취미로 여겨진다. 그러나 쪽방촌에 사는 주민들에게 밥의 의미는 다르다. 이곳에서 밥은 생존이자 각별히 애를 써야만 얻을 수 있는 귀한 대상이며 때때로 인생을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연일 매서운 한파가 기승을 부리는 한겨울, 동자동 쪽방촌에서 만난 밥 한 끼의 무게를 전한다.● 고립된 세상에서 벗어나게 하는 힘
이날 급식소에서 만난 50대 김태훈(가명) 씨는 사업 실패, 가족과의 이별을 겪은 뒤 고속버스터미널에서 한동안 노숙 생활을 했던 이다. 그러다 지난해 여름, 동자동 쪽방촌에 자리를 잡게 된 그는 5일 동안 이곳 급식소에서 밥을 먹었다. 따뜻한 밥을 먹은 뒤 고마운 마음이 들었던 그는 청소 중인 급식소 관계자에게 다가가 말했다. “내가 청소를 좀 할게요.”
그렇게 김 씨에게 새로운 일거리가 하나둘 늘었다. 급식소 주변 페인트칠을 했고 시설 수리가 필요하다고 하면 발 벗고 나섰다. 후원 물품이 많이 오는 날이면 물품 하차와 정리도 도왔다. 노숙 생활을 하며 누군가의 도움을 기다리기만 했던 그가 이제는 타인과 어울리며 도움을 주는 사람이 됐다. 그에게 밥은 새로운 시작인 셈이다.
60대 이석훈(가명) 씨에게도 이곳에서의 밥은 남다른 의미를 지닌다. “오늘 죽을 세 그릇이나 먹었다”며 밝게 웃어 보인 그는 한때 서울역에서 노숙 생활을 한 적이 있다. 서울역을 떠도는 동안 그를 비참하게 만든 건 가난보다 외로움이었다. 세차게 비가 내린 어느 날, 젖은 박스를 덮고 자다 깬 날을 그는 또렷하게 기억한다고 했다. 그는 당시 적었던 글을 읽어줬다.
‘비가 옵니다. 텅 빈 서울역 광장에. 비가 옵니다. 가난한 내 가슴에. 흙수저로 태어나 한 번도 잘살아 보지 못하고 병든 몸으로 마지막 세월을 힘들게 살아가는 가난한 내 가슴에. 비가 옵니다.’
하지만 급식소에서 밥을 먹으며 사람들을 마주치고 봉사자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순간이 그에게는 잠시나마 세상과 연결되는 경험이 됐다. 이 씨는 “내가 언제 찾아가도 편하게 아침밥을 주는 사람들이 있다는 게 안심이 된다”고 말했다. 그에게 밥은 고립된 세상에서 벗어나게 하는 힘이었다.쪽방촌 주민들에게 ‘누군가 나를 위해 한 끼의 밥을 차려준다’는 건 생각보다 큰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급식소 관계자는 식판을 올려둔 테이블을 가만히 바라보다 눈물을 흘렸던 한 이용자의 모습을 생생하게 기억한다. 그는 휴대전화로 테이블 위에 놓인 냅킨 사진을 찍어가기도 했다. 정갈하게 차려진 한 끼와 깨끗한 테이블, 식사를 잘할 수 있도록 준비해둔 냅킨 같은 일상적인 풍경이 아마 그에게는 사진으로 남겨 오래 기억하고 싶을 만큼 특별한 일이었을지 모른다. 어떤 이용자는 새우튀김이 올라간 우동이 나온 날, 우동 그릇을 한참 동안 바라보고만 있었다고 한다. 그러던 그가 남긴 말은 딱 한마디였다. “새우튀김이라는 음식을 20년 만에 먹어 봐요.”● “쪽방촌 주민 ‘먹을 권리’ 안정적으로 보장해야”
현재 쪽방촌 주민들이 끼니를 완전히 챙기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서울시의 경우 서울 내 5개 쪽방촌 주변 식당을 ‘동행식당’으로 선정해 쪽방촌 주민들이 전자급식카드로 하루에 1끼를 먹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사회복지시설이나 종교시설에서 무료급식소를 여럿 운영하고 있기도 하다.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2023년 서울시 쪽방 건물 및 거주민 실태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내 쪽방촌 주민 1일 평균 식사 횟수는 2회(55%)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이 △3회(28.7%) △그때그때 다르다(9.4%) △1회(6.9%) 등 순이었다.그러나 전문가들은 쪽방촌 주민들의 ‘먹을 권리’가 안정적으로 보장되어 있다고 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한다. 일단 열악한 쪽방촌의 주거시설 특성상 직접 밥을 해먹기는 무척이나 어렵다. 서울 내 쪽방촌 주민 중 식사를 해결하는 방법이 ‘직접 취사’인 경우는 57.2%로 절반을 겨우 넘는 수준이다. 식사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장소로 스스로 찾아가는 것을 어려워하는 쪽방촌 주민들도 적지 않다.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쪽방촌 주민들의 특성상 거동 자체가 불편한 이들도 많고 쪽방촌 주민들이 모여 있는 급식소라는 공간을 찾는 것에 거부감을 느끼는 이들도 있기 때문이다. 물가가 오르고 경제 불황이 겹치면 무료급식소 운영에 어려움이 생기기도 한다. 후원이 줄거나 한파 등의 이유로 봉사자들이 발길을 갑작스럽게 끊으면 급식소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쪽방촌과 빈곤을 주로 연구하는 탁장한 씨(34·서울대 사회복지학과 박사)는 “급식소의 경우 대부분 봉사를 통한 운영이기 때문에 봉사자 수 등에 따라서 음식의 질이나 배식 일정 등이 달라지는 등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 무기력과 좌절을 넘어
쪽방촌 주민들의 ‘먹을 권리’를 보장해야 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단순히 이들의 영양이나 건강 상태를 위해서뿐만 아니라 이들의 삶을 다시 일으켜 세우는 일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손병덕 총신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쪽방촌 주민들은 ‘의식주’에 대한 욕구와 자신을 돌보려는 의지 자체가 높지 않은 것이 상당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쪽방촌 주민들은 장기화된 경제적 어려움이나 사업 실패, 이혼과 같은 관계의 단절을 경험한 이후 이곳에 머물게 된 경우가 많다. 인생을 살면서 자신이 통제하기 힘든 심각한 좌절이나 사회적 배제를 겪으며 무기력한 삶이 습관화되기도 한다. 손 교수는 “다른 사람과 함께 어울리면서 환대를 받는 경험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식사 지원은 의식주라는 기본적인 욕구를 해결하는 것에서 나아가서 자신의 삶을 더 펼쳐 나가기를 기대하는 측면의 지원이라는 점에서 더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13일 오전 무료급식소에서 아침 식사를 마치고 일어난 한 중년 남성이 기자에게 다가와 조용히 작은 커피맛 사탕 4개를 손에 쥐여 줬다. 그는 말없이 가볍게 목례를 하고는 빠르게 급식소를 떠났다. 남성의 마음을 알 수는 없지만, 그의 손길에는 작지만 깊은 무언가가 담겨 있었다. 대다수의 사람들에게는 먹어도 그만, 안 먹어도 그만인 한 끼일지라도, 세상의 낮은 곳에서 삶을 이어가는 누군가에게는 때때로 특별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낯선 그가 건넨 사탕에서 그 특별한 의미가 담긴 맛이 느껴졌다.
김소영 기자 ksy@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