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자본시장 전문가들이 국내 기업의 실적 악화를 우려했다. 또 미국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진 점, 세제 개편도 리스크로 꼽았다.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협회는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대회의실에서 '자본시장 현장 전문가 간담회'를 열고 대내외 환경 변화에 따른 주식 시장 영향을 논의했다. 또 국내 증시 활성화를 위한 현장의 건의 사항도 청취했다.
이 자리에서 자본시장 현장 전문가들은 관세 협상이 타결돼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했고, 국내 주식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봤다. 또 상법 개정으로 국내외 투자자의 투자심리가 개선됐고, 앞으로도 자사주 소각·장기투자자 세제 혜택 등 주식 시장에 우호적인 정책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다만 세제 개편 이슈, 관세로 인한 국내 일부 기업의 실적 저하 가능성 및 美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 때문에 주식 시장이 부정적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앞서 정부는 주식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을 늘리고, 증권거래세·법인세를 인상하는 내용의 세제 개편안을 발표했다.
퇴직연금에 대한 건의사항도 제기됐다. 연금 자산 내 위험자산 투자한도 규제를 완화하고, 디폴트 옵션(사전지정 운용제도) 제도를 개선해 퇴직연금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취지다. 또 공모펀드 가입절차도 단순화해 운용사의 운용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간담회에 참석한 서재완 금융감독원 금융투자부문 부원장보는 "코스피가 역사상 최고치에 다가서는 등 국내 주식 시장이 그간의 긴 침체기를 지났고, 부동산에 편중된 자금이 자본시장으로 대이동하는 전환점이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금감원은 앞으로도 현장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고, 유관기관과 소통하면서 자본시장이 지속해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증시 활성화를 위해 혁신 산업 등 생산적 분야로 자금 공급이 확대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금융투자업계는 모험자본 공급이라는 막중한 역할을 차질 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힘줘 말했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