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선 레이스] 韓 출마선언 앞두고 4가지 쟁점
② “단일화는 후보자가 하는것”… 지도부가 결정땐 월권 논란
③ 추대방식 단일화 추진땐… 선거법 “민주적 절차” 충돌
④ 선거관리 해야할 대행 출마… 정치적 중립에 저촉 가능성
● 단일화 방식 따라 특혜 시비 가능성
한 권한대행을 둘러싼 단일화 논의에 논란이 일고 있는 것은 경선에 참여하지 않던 당 외부 인사와 경선 막바지 ‘빅텐트’를 논의하면서 각종 논란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까지 공직자 신분을 유지하며 당적이 없는 상태다. 당내에서는 단일화 방식을 두고서도 ‘선(先)입당, 후(後)단일화’ ‘선단일화, 후입당’의 시나리오로 갈리고 있다.
두 방식 모두 벌써 잡음이 나온다. 국민의힘 후보들이 최대 3억 원의 기탁금을 내고 장기간 경쟁을 해온 상황에서 한 권한대행이 입당해 최종 경선에 합류하면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것. ‘선단일화, 후입당’ 역시 특혜 논란을 피해 가기 어렵다. 당 조직부총장인 김재섭 의원은 이날 “지지율이 높다는 이유만으로 갑자기 원샷 경선을 해서 우리 당 후보와 1 대 1을 한다면 공정성 시비 문제가 당연히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단일화 경선 방식에 따라 향후 단일화 선거에서 당원 투표가 반영되지 않으면 경선을 통해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선출한 당원들의 권리가 침해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 지도부 단일화 개입 권한 논란
당 지도부가 한 권한대행과의 단일화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는 것도 논란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경선 캠프 관계자는 “당헌에 따라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되는 후보는 ‘당무 우선권’을 가지며 사실상 당 대표의 지위를 갖게 된다”고 강조했다. 단일화 논의는 당 경선을 거쳐 5월 3일 확정되는 대선 후보가 전권을 가져야 한다는 것. 실제로 2002년 대선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과 정몽준 당시 국민통합21 후보와의 단일화나 2022년 윤석열 전 대통령과 당시 국민의당 후보였던 안철수 의원과의 단일화 역시 경선을 거쳐 선출된 대선 후보들이 직접 추진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당 지도부가 국민의힘 최종 대선 후보가 확정되기 전 단일화 일정이나 조건 등에 대한 협의에 나설 경우 자의적 권한 행사라는 비판이 나올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앞서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정대철 헌정회장에게 ‘빅텐트 과정에서 도와달라’는 취지의 부탁을 한 것을 두고 한동훈 전 대표는 “적절하지 않다”고 불쾌감을 표하기도 했다. 최종 경선에 진출한 한 캠프의 관계자는 “단일화 협상은 대선 후보 측이 해야지 기존 지도부가 하는 게 아니다”라고 했다. ● 단일화 방식 두고 절차적 정당성 비판 나올 수도최종 대선 후보가 한 권한대행과 단일화에 합의해도 방식을 두고 절차적 정당성에 대한 비판이 나올 수 있다. 단일화 방식을 두고는 여론조사를 통한 경선으로 단일화를 이뤄낸 ‘노무현-정몽준’ 모델과 후보 간 담판으로 단일화를 결정한 ‘윤석열-안철수’ 모델이 거론된다. 이날 당 경선 최종 결선을 통과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측에선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까지 모여 교황 뽑듯 콘클라베 하듯이 합의할 수도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한 권한대행이 무소속 후보로 국민의힘 후보와 추대식으로 단일화를 추진할 경우 ‘정당 후보자 추천 때는 민주적 절차를 따라야 한다’는 공직선거법 47조 2항과 충돌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일각에선 선거비용 보전을 위한 단일화로 비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무소속으로 대선을 치를 경우 정치 후원금 법정 한도인 약 29억 원 외의 비용은 사재로 충당해야 한다. 반면 국민의힘 후보로 나서면 선거 보조금 등을 포함해 약 600억 원의 선거자금을 사용할 수 있다.
● 정치 중립성 위반 지적 불가피
선거 관리 책임을 진 대통령 권한대행의 출마를 두고 정치적 논란도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민주당은 당장 한 권한대행의 그동안의 산업현장 시찰, 군부대 방문, 외신 인터뷰 등을 두고 관권선거라고 공세를 펴고 있다. 민주당은 전날(28일) “한 권한대행의 캠프 기조까지 보도되고 있다. 사실이라면 명백한 정치 중립 의무 위반”이라고 한 데 이어 이날도 “한 권한대행의 대권 행보는 명백한 관권 선거”라고 주장했다.
김준일 기자 jikim@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