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10명 중 2명 꼴 종부세 대상자”…경실련, 22명은 완화 혜택

1 week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22대 국회의원 중 20.1%가 종합부동산세를 납부하고 있으며, 이는 일반 국민의 11배에 해당하는 수치로 나타났다.

경실련은 종부세 완화 정책으로 인해 혜택을 누리는 것은 국민이 아닌 상위 1%의 정치인들이라고 주장하며, 기본 공제액 복구와 과세기준 조정을 촉구했다.

부동산 재산이 가장 많은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의 박정 의원으로 약 382억50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으며, 상위 10명 중 민주당 3명, 국민의힘 7명으로 구성됐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지난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지난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제22대 국회의원 중 일정 기준을 넘는 주택과 토지에 매겨지는 종합부동산세(종부세)를 내는 비율이 20%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 국민과 비교하면 11배 수준이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5일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22대 국회의원 부동산 보유·종부세 실태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올해 3월 기준 국회의원 재산공개 자료에 따르면 22대 의원 299명 중 종부세를 납부하는 인원은 60명으로 20.1%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022년 주택보유현황 통계를 기준으로 국민 2177만 가구 중 12억원을 초과하는 주택 소유가구는 39만7000가구다. 이를 토대로 경실련은 일반 국민의 종부세 납부 비율을 1.8% 수준으로 추정했다.

종부세를 내는 국회의원 비율은 일반 국민의 11배나 된다는 게 경실련의 주장이다.

종부세 완화로 혜택을 본 의원도 적지 않다고 경실련은 지적했다. 윤석열 정부는 출범 이후 종부세 완화 정책을 펼쳐 2023년에는 기본 공제액을 6억원에서 9억원으로, 실거주 1주택자의 기본 공제액도 11억원에서 12억원으로 상향했다.

완화 전 기준을 적용하면 종부세를 내야 하는 의원이 82명이지만, 완화된 기준에서는 60명으로 26.8% 감소한 것이다.

경실련은 “종부세 완화가 서민 감세라고 주장하지만, 혜택은 국민이 아니라 일부 정치인 등 상위 1%가 크게 누리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종부세 기본 공제액을 6억원(1가구 1주택 9억원)으로 복구하고 과세표준을 낮추는 공정시장가액비율 제도를 폐지할 것 등을 촉구했다.

경실련 자료에 따르면 22대 의원 중 부동산 재산이 가장 많은 이는 더불어민주당 박정 의원으로 건물 약 382억4000만원과 토지 1000여만원 등 총 382억5000만원을 신고했다. 국민의힘 박덕흠(314억8000만원), 김은혜(201억8000만원), 서명옥(186억7000만원), 백종헌(183억3000만원) 의원이 뒤를 이었다.

부동산 재산 상위 10명의 소속 정당은 민주당 3명, 국민의힘 7명이었다. 이들은 평균 165억8000만원의 부동산을 소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