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지난달 국내 수입·수출 물가가 지난해 9월 이후 최대폭으로 떨어졌다.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가운데 원·달러 환율도 내리면서다.
![]() |
(사진= AFP) |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4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원화 기준 수입물가는 전월에 비해 1.9% 하락했다. 2월(-1%)과 3월(-0.4%)에 이어 석 달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다. 낙폭으로는 지난해 9월(-2.6%) 이후 7개월 만에 최대폭이다.
수입 물가에 큰 영향을 주는 국제유가와 환율이 모두 떨어졌다. 우리나라가 주로 수입하는 두바이유 가격은 올해 3월 배럴당 평균 72.49달러에서 4월에는 67.74달러로 6.6% 하락했다. 두바이유가격은 전년동월에 비해 24% 하락했다. 환율은 3월 평균 1456.95원에서 4월 1444.31원으로 0.9% 내렸다.
국제유가 하락에 광산품을 중심으로 원재료 가격이 전월대비 4.3% 하락했다. 중간재 역시 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석탄 및 석유제품, 1차 금속제품 등이 전월보다 1.3% 떨어졌다. 자본재 및 소비재도 각각 전월대비 0.3%, 0.4% 내렸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수입물가는 2.3% 하락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지난해 11월부터 5개월째 상승세를 지속하다 6개월 만에 하락 전환한 것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국제유가 하락에 원유(-19.8%)와 천연가스(-7.4%)가 큰 폭으로 하락하며 광산품을 중심으로 원재료가 11.5% 떨어졌다. 중간재 중에서도 석탄 및 석유제품이 6.9% 내리며 낙폭이 가장 컸으며, 시스템반도체가 15.4% 하락하면서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역시 3.8% 내렸다.
4월 수출물가는 전월대비 1.2% 하락했다. 유가 하락에 석탄 및 석유제품(-3.6%)과 화학제품(-2.3%) 등 공산품이 1.2% 내렸다. 농림수산품은 1.1% 하락했는데, 냉동수산물이 2% 떨어졌다.
환율 영향을 제외하고 볼 수 있는 계약통화 기준 수입물가는 전월대비 1.5% 내렸다. 계약통화 기준 수출물가는 전월대비 0.7% 하락했다, 수출입 물가 모두 국제 유가 하락 영향이 컸다.
![]() |
(자료= 한국은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