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권침해 1등 사례는 학부모에 의한 피해… 학생이 가하는 폭행도 두 배 늘어

1 day ago 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난해 교원단체가 처리한 교권 침해 건수가 504건으로, 2021년부터 3년 연속 500건을 넘겼다.

가장 많은 침해는 학부모에 의한 것으로, 특히 아동학대 신고 관련이 80건으로 집계되었으며, 학생에 의한 피해도 증가세를 보였다.

교총은 교권 보호를 위한 법 개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교원들이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총) 교사들이 지난 2023년 7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교권보호 대책 마련 촉구 및 교권침해 설문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출처 = 뉴스 1]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총) 교사들이 지난 2023년 7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교권보호 대책 마련 촉구 및 교권침해 설문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출처 = 뉴스 1]

지난해 교원단체가 접수·처리한 교권 침해 건수가 504건으로 2022년, 2023년에 이어 3년 연속 500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44회 스승의 날을 앞두고 발표한 ‘2024년도 교권 보호 및 교직 상담 활동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교총이 지난해 접수·처리한 교권 침해 건수는 총 504건이었다.

2023년 519건, 2022년 520건에 비해 다소 줄긴 했지만, 여전히 500건을 넘긴 것으로 집계됐다.

교권침해 사례 가운데 학부모에 의한 피해가 208건(41.3%)으로 가장 많았고, 이 중 아동학대 신고 관련이 80건(38.5%)을 차지했다.

학부모에 의한 침해에 이어 교직원에 의한 피해가 159건(31.6%), 학생에 의한 피해가 80건(15.9%) 순으로 뒤를 이었다.

학부모에 의한 교권 침해는 2022년에도 520건 중 241건(46.3%), 2023년에는 519건 중 251건(48.4%)으로 매년 절반에 육박하고 있다.

학생에 의한 교권 침해 피해는 지난해(75건)보다 5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생에 의한 피해 행위 중 ‘폭행’이 19건으로 전년(8건) 대비 두 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학생에 의한 피해 유형 중 가장 많은 폭언·욕설(23건) 다음으로 많았다.

학생에 의한 교권 침해 사례 총 80건 가운데 62건(77.5%)이 여교사에게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학생에 의한 폭행 피해는 여교사에게 훨씬 많이 발생했다. 19건의 폭행 피해 중 1건을 제외한 18건 모두 여교사가 피해를 입은 경우다.

교총은 “2023년 서울 서이초 사건 이후 교권5법이 개정, 시행됐지만 교권 침해와 교원들의 고통은 체감할 만큼 줄지 않았다”며 “교원들이 악성 민원, 무고성 아동학대 신고에서 벗어나 교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아동복지법, 아동학대처벌법, 교원지위법 개정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