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현장 간담회
AI 도입률 40%로 대폭 확대
10조 보험·2000억 대출 병행
인재 1.1만명 양성 계획 가동
정부가 전통적인 공장 500개를 ‘인공지능(AI) 선도공장’으로 전환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시동을 거다. 또 최대 10조원 규모의 전용보험 상품과 같은 대규모 금융지원을 병행한다. 이를 통해 제조업 전반에 AI를 접목해 AI 도입률을 40%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대전 KAIST(카이스트)에서 열린 ‘AI 대전환 릴레이 현장간담회’에서 “AI 기반 제조공정 혁신은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이라며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12일 AI 로봇·자동차 분야 이어 두번째 현장 소통자리다.
우선 정부는 현재 5% 미만인 제조기업 AI 도입률을 5년뒤엔 4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AI 팩토리 선도사업 공장을 2030년까지 500개로 확대(작년 26개)하고, 최대 10조원 규모의 전용 보험상품과 2000억원 규모의 대출을 지원한다. 스마트공장 구축 예산도 올해 2361억원에서 내년엔 4366억원으로 80% 넘게 늘어난다.
세제 측면에선 AI 연구개발(R&D) 및 데이터센터 투자 세액공제를 늘린다. 국내 복귀 AI 인재에 대한 소득세 50% 감면정책은 2028년까지 연장한다.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설비에 대해서는 2028년까지 가속상각(50% 범위)을 신설해 초기 투자 부담을 낮춘다. 구 부총리는 “AI대전환 15대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시장을 가장 잘 아는 기업을 중심에 두고, 예산·세제·금융·규제 완화를 패키지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또 데이터 활용, 산업안전, 운행 요건 등 현장 규제 애로를 ‘산업융합촉진 옴부즈만’을 통해 신속히 개선하고 실증·상용화 단계에서의 규제 완화도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전북·경남을 중심으로 AI 팩토리 혁신거점을 조성한다. 전북엔 협업지능 AI팩토리 테스트버드, 경남엔 초정밀 피지컬AI 글로벌 연구거점을 세운다.
한편 이번 간담회에는 포스코, LG전자, 현대자동차, GS칼텍스 등 주요 기업과 구글 클라우드가 참석해 AI 제조혁신 성과와 사례를 공유했다. 기업들은 “아직 세계적으로 뚜렷한 강자가 없는 AI 제조 분야를 선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청년 주간’을 맞아 간담회에 참석한 청년 연구자들은 “AI로 대표되는 혁신의 물결은 연구현장에서 시작된다”며 자유로운 연구 환경 조성을 요청했다. 정부는 AI·AX 대학원을 19개에서 24개로 확대하고, 생성형 AI 선도과제도 13개로 늘려 석·박사급 인재 1만1000명을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AI 팩토리 확산은 생산성 제고를 넘어 탄소 감축, 작업장 안전 확보, 맞춤형 생산체계 구축까지 우리 제조업을 A부터 Z까지 탈바꿈시킬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