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곳곳의 지식산업센터가 텅 빈 ‘유령 건물’이 되고 있다. 공실 문제로 투자자와 시행사가 자금난을 겪는 것뿐만 아니라 방치된 건물은 지역사회의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추가 공급 물량도 적지 않아 부실이 확산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3일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따르면 지난 6월까지 전국에서 준공된 지식산업센터는 1066곳(연면적 7029만㎡)에 이른다. 이 중 40%가량이 공실로 남아 있다. 인허가 후 삽을 뜨지 못한 물량도 수도권에만 126곳(연면적 736만㎡)이다.
수익형 부동산인 지식산업센터는 규제가 적고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부동산시장 호황기에 수도권에 대거 공급됐다. 하지만 고금리와 경기 침체 여파로 공실이 부쩍 늘었다. 경기 포천의 한 지식산업센터는 전체 687실 중 74%(508실)가 공실이다. 고양시 덕양구 향동지구 내 지식산업센터(연면적 8만5302㎡)는 준공 1년이 지났지만 대부분 비어 있다.
업계에서는 입주 업종 제한을 풀고, 50% 수준인 담보인정비율(LTV)을 80%대로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진홍 지식산업센터연합회 사무국장은 “자족시설이 될 수 있도록 입주 업종 문턱을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양주·고양=손주형 기자 handb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