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전 사단장은 이날 포렌식 절차 참관을 위해 정부과천청사 내 공수처에 출석하면서 “저도 빨리 비밀번호가 풀려서 구명로비가 없었다는 것을 (입증하기를) 학수고대하고 있고 경찰 능력으로도 충분히 풀렸을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밝혔다.
앞서 공수처는 경찰청에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 잠금 해제를 요청했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 전 사단장은 “휴대전화 비밀번호가 기억나지 않는다는 입장은 변함없는지”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네”라고 답했다.
임 전 사단장은 23일에도 참관 절차 진행을 위해 공수처에 출석했으나, 전 과정의 녹음을 요구하면서 끝내 포렌식 작업이 불발됐다. 임 전 사단장은 “가능한 빨리 수사가 될 수 있도록 저의 요청을 철회했다”고 했다.공수처는 채 상병 순직 사건을 해병대 수사단이 임 전 사단장 등을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경찰에 이첩한 이후, 윤석열 전 대통령이 격노하자 국방부가 기록을 회수했다는 의혹을 수사하고 있다. 임 전 사단장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의 핵심 관계자인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를 통해 구명 로비를 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는 상황이다.
공수처가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를 재개한 것은 약 8개월 만이다. 지난해 8월 임 전 사단장에 대한 포렌식 절차를 시작한 이후, 윤 전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을 선포하면서 공수처 수사력이 내란 수사에 집중됐다. 다시 채 상병 수사에 시동을 건 공수처는 조만간 임기훈 전 대통령국방비서관, 이시원 전 대통령공직기강비서관, 이종석 전 국방부 장관 등을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허동준 기자 hungry@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