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인 경찰이 Google Pixel 기기를 사용하는 사람을 범죄자와 연관 지어 프로파일링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나, 이는 Pixel에 기본 탑재된 Titan M2 보안칩 때문이 아니라 프라이버시 강화 OS인 GrapheneOS 덕분임
-
GrapheneOS는 Google 서비스가 기본 포함되지 않음에도, Play Store 설치 및 대부분의 앱(심지어 은행 앱까지) 정상 사용 가능하며, 설치와 사용 경험에서 큰 불편함 없이 안드로이드의 주요 기능을 완벽하게 대체함
-
앱 샌드박싱 및 권한 통제가 매우 엄격해 Google조차 일반 앱처럼 제한적으로만 동작하도록 만들고, 듀레스(duress, 강제상황) PIN 등 고급 보안 기능도 제공함
- GrapheneOS 사용 이유는 “숨길 게 있어서”가 아니라, 사용자가 스스로 데이터와 기기에 대한 통제권을 갖기 위함임
-
프라이버시 도구를 범죄와 연결 짓는 시각은 오히려 프라이버시의 중요성을 입증하며, 소프트웨어 자체의 잘못이 아닌 오남용의 문제임
스페인 경찰, Pixel + GrapheneOS 사용자 ‘범죄 연루’로 의심
- 스페인 카탈루냐 지역 경찰이 Google Pixel 기기 소지자를 범죄자와 연관 지어 프로파일링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옴
- 마약 밀매범들이 Pixel을 선호하는 이유는 Titan M2 보안칩이 아니라, 프라이버시 중심 OS인 GrapheneOS 때문임
- 필자 역시 GrapheneOS를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로서 이 같은 프레임에 불쾌감을 느낌
왜 GrapheneOS를 쓰는가
- GrapheneOS는 설치가 간편하며, 현대적인 소프트웨어 기능 손실 없이 사용할 수 있음
-
오픈소스 안드로이드 포크임에도 불구하고, Play Store 설치와 앱 호환성이 뛰어남
- 대부분의 앱(특히 은행 앱 포함)이 정상 작동함
- 주요 특징은 다양한 보안 기능과 앱 샌드박싱 강화, 악성 공격 벡터 감소
- 일반적인 안드로이드에서는 Google 앱이 시스템 레벨로 개인정보 접근이 가능함
- GrapheneOS는 Google 앱도 일반 앱처럼 샌드박스 내에서 동작, 권한 기본 비활성화 및 수동 제어 가능
-
사용자 프로필 분리로 앱 권한을 더욱 안전하게 격리하고, 알림을 메인 프로필로 포워딩하는 기능까지 지원함
-
앱별 인터넷 차단, 센서 접근 차단 등 세밀한 권한 관리 가능
- 특정 앱에 노출할 연락처, 사진, 파일만 선택적으로 허용 가능
-
듀레스 PIN(Duress, 강제로 비밀번호를 요구받을 때 입력 시 데이터 완전 삭제) 기능 제공
GrapheneOS와 프라이버시에 대한 오해
- "숨길 게 없으면 굳이 써야 할 이유가 있나"라는 주장에 대해, 실제 목적은 기기와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주도적 통제권’ 확보* 에 있음
- Google의 데이터 접근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이 핵심 장점
- GrapheneOS의 앱 격리 기능은 원격 감염이나 악성 공격 방지에 매우 효과적임
- 일부 보안 개선은 AOSP에도 반영되어 전체 Android 생태계의 보안성 향상에 기여함
-
GrapheneOS가 법집행기관의 관심을 끄는 자체가 그만큼 프라이버시 강화 효과가 크다는 방증임
GrapheneOS의 프라이버시와 보안이 정치적 논란이 되는 이유
- Signal 등 암호화 메신저 서비스처럼, GrapheneOS도 감시를 어렵게 만든다는 이유로 의심과 압박에 직면함
- EU에서는 "Chat Control" 법안을 통해 엔드투엔드 암호화 메시지까지 스캔하도록 요구하는 움직임 존재
- 암호화 자체는 허용되지만, 장치 내 사전 스캔이 사실상 백도어를 도입하는 게 됨
- 이것이 시민 감시나 악의적 해킹 위험을 증대시킬 수 있음
- 아이러니하게도, 2019년 카탈루냐는 Pegasus 스파이웨어 사태의 중심지였음
- 정부 전용 감시 도구 사용으로 많은 정치인과 활동가가 해킹 피해 경험
-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스스로를 보호하려는 일반 시민과 파워유저가 감시 대상이 되고 있음
오픈 소스 툴의 중립성
- GrapheneOS와 Signal 개발자는 소프트웨어 사용 목적을 통제할 수 없으며, 대부분의 사용자는 프라이버시와 보안 강화 목적임
- 범죄 예방을 핑계로 프라이버시 툴 규제 요구는 본질적으로 문제 소지가 있음
- “성냥갑은 방화에, 현금은 돈세탁에 쓰인다”는 논리와 비슷
— 프라이버시 도구 자체를 규제하는 것은 부당
- 결국, GrapheneOS와 같은 툴을 쓴다는 이유로 법 집행기관의 프로파일링 대상이 되는 현실은 부당함
- 만약 프라이버시를 추구하는 것이 의심의 이유가 된다면, 그 자체로 사회적 문제가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