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도 비켜갔다" … 크루즈株 쾌속 순항

1 day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의 소비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크루즈 수요는 여전히 견고하여 주요 크루즈 기업이 1분기 호실적을 기록했다.

로얄캐리비안크루즈(RCL)는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예약률은 86%로 높게 유지되고 있다.

주가는 29.24% 상승하며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고객의 높은 충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로얄캐리비안 한달새 29% 쑥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도
1분기 실적 시장기대치 웃돌아

사진설명

미국의 소비 둔화 우려에도 크루즈 수요는 견고해 크루즈 기업이 올해 1분기 호실적을 냈다. 연간 예약률만 86%에 달하는 등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소비 심리가 위축됐다지만, 경제적 여유가 있는 사람들의 탑승 수요는 큰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이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국 대표 크루즈 기업이자 세계 2위 크루즈 운영사인 로얄캐리비안크루즈(RCL) 주가는 지난 한 달 동안 29.24%(5월 2일 기준) 상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효 조치 이후 내렸던 주가가 연초 수준으로 회복한 것이다.

이 같은 상승세는 1분기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도 한몫했다.

1분기 순이익만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고, 로얄캐리비안의 1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2.71달러로 예상치 2.55달러를 웃돌았다. 매출은 39억99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했지만, 예상치 40억1000만달러에는 소폭 못 미쳤다.

주목할 만한 것은 연간 예약 프로모션 등이 펼쳐지는 1분기 초에 최고 예약률을 보여주는 한편 예약 탑승률이 109%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한 점이다. 실제 탑승객 수는 전년 동기 대비 9% 늘어난 220만명이었다. 고객 충성도 지표인 NPS가 70을 넘는 등 반복 예약률이 상승했고, 연간 예약률도 86%의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제이슨 리버티 로얄캐리비안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실적은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도 크루즈 여행의 지속적인 매력과 가격 대비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는 결과"라고 강조했다. 지난해에만 60% 주가가 오른 이 회사는 꾸준히 증가하는 수요와 함께 영업이익을 늘리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사태 이전인 2019년에 20억6800만달러 수준이었던 영업익은 지난해 2배가 증가한 41억달러를 넘어섰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로얄캐리비안의 올해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9.3% 증가한 180억1000만달러 수준으로 관측된다. 특히 올해 전 세계 해양 크루즈 탑승객은 지난해와 비교해 4.9% 증가한 3370만명 정도로 예상된다. 크루즈 산업은 현재 세 기업이 글로벌 점유율을 나눠 갖고 있다. 카니발코퍼레이션 41.5%, RCL 27%, 노르웨이지안크루즈 9.4% 등이다.

[홍성용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