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국이 참여를 압박하는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프로젝트와 관련해 일본, 대만 등에 협의체를 만들어 공동 검토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교도통신은 27일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한국 정부가 지난 24일 미국과의 협의에서 ‘알래스카 LNG 개발은 경제성 파악이 우선’이라고 답한 뒤 일본, 대만, 베트남 등에 ‘에너지 수요국 협의체’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수요국 협의체는) ‘2+2 협의’에서도 미국 측에 언급한 사안이고, 한국만 참여해선 (프로젝트가) 불가능하다는 점도 명백하다”며 사실상 내용을 인정했다.
이 사업은 알래스카 북쪽 노스슬로프 지역에서 생산한 천연가스를 앵커리지 인근으로 옮기기 위해 1300㎞가량의 가스관을 깔고, 수출에 필요한 LNG 액화 설비를 짓는 프로젝트다. 미국은 중국을 제외한 주요 아시아 국가가 여기에 투자하고, LNG도 나눠 사가길 원하고 있다. 통상당국은 에너지 안보 및 수급 다변화 차원에서 LNG 수입은 필요하지만 프로젝트 참여 결정은 현지 실사 이후 하겠다는 뜻을 미국에 전달했다.
최대 리스크는 450억달러(약 64조원)로 추산되는 대규모 사업비다. 극한 기후에 가스관을 설치하는 공사여서 난도도 높다. LNG 구매 약정을 해도 나중에 에너지 가격 등락에 따라 ‘규모와 시점’이 문제 될 수도 있다.
프로젝트 참여와 관련해 대만과 한·일의 온도 차가 작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대(對)중국 관계 때문에 미국과 더욱 협력하길 원하는 대만은 적극적이지만, 한국과 일본은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24일 ‘한·미 2+2 통상 협의’ 직후 브리핑에서 “모든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참여 여부, 시기, 규모 등을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