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 후보 2차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 한동훈(가나다순) 후보가 24일 1 대 1 토론에서 맞붙었다. 반탄(탄핵 반대)파인 김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과 이에 따른 조기 대선의 원인이 한 후보라고 주장한 반면, 한 후보는 국무위원으로서 윤 전 대통령에게 직언하지 못한 김 후보 등의 잘못이라고 맞받았다.
이날 서울 서린동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오픈스튜디오에서 열린 2차 경선 맞수 토론회 인사말에서 김 후보는 “우리가 오늘 이렇게 다시 만나는 것도, 대선을 다시 해야 하는 것도 모든 뿌리, 책임과 시작이 한 후보에게 있다고 생각한다”고 운을 뗐다. 당 대표인 한 후보가 윤 전 대통령과 지속적으로 각을 세운 것이 계엄의 원인이 됐다는 게 김 후보의 주장이다.
그는 “윤 전 대통령은 한 후보에 대해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후배라고 했다”며 “굉장한 사랑과 많은 관계를 말하는데 이런 관계가 왜 탄핵과 구속 등 서로 대화가 안 되는 수준까지 왔는지 알고 싶고 안타깝다. 정치를 떠나서 인간관계가 이렇게 돼서 되겠느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 후보는 “사적 관계가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다고 본다”며 “저도 대단히 고통스러웠지만 그것이 보수를 살리는 길이었고, 우리가 이렇게 대선 후보를 내고 승리를 위해 노력할 수 있는 상황도 그나마 제가 행동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또 “(김건희 여사 문제 등에) 김 후보를 비롯한 여러분이 나서서 잘못을 막으려고 노력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저는 오히려 대통령의 잘못을 바로잡으려 한 게 저밖에 없어서 안타깝다”고 했다.
두 후보는 ‘기업하기 좋은 나라’의 방향성을 두고서도 설전을 벌였다. 김 후보는 “외국 기업들이 한국에 왜 오지 않느냐. 한국 가면 (기업인이) 감옥 간다는 생각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검사 시절 한 후보가 기업인 수사를 다수 담당했던 사실을 겨냥하기도 했다.
이에 한 후보는 “대단히 안타깝고 불행한 일이지만 잘못이 있으면 누구나 처벌받아야 한다는 선명성을 보여주는 것도 국가경제 발전에 필요하다”면서도 “과도한 배임죄 처벌은 찬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두 후보의 약점을 겨냥한 사회자의 질문도 나왔다. 김 후보는 ‘전광훈 목사’와의 관계에 대해 묻는 질문에 “전 목사가 대선에 출마하는지 안 하는지 만나본 적도 없고, 소통한 적도 없다”며 “아무런 관련이 없는데 이런 부분에 대해 많은 분이 오해한다”고 해명했다.
한 후보는 일명 ‘당원 게시판 논란’과 관련한 질문에 “아직도 이런 얘기를 하는 게 놀랍다. 계엄엔 관대하고 당원 게시판에 예민한 거 같다”며 “아직도 이런 얘기들이 윤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를 성역으로 보는 것”이라고 했다.
정소람/박주연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