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 소비 상품권의 일환인 온누리상품권과 지역화폐를 융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 |
1일 국회에서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심사를 위한 종합정책질의가 열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재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일 국회 예산결산특위 종합정책질의에서 “부처 칸막이를 없애고 행정안전부의 지역화폐와 중소벤처기업부의 온누리상품권 정책을 융합할 때”라고 말했다.
온누리상품권은 중기부와 소상공인진흥공단이 발행하는 상품권으로, 전국의 전통시장과 상점가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지역화폐는 각 지자체가 발행하는 것으로, 해당 지자체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윤석열 정부에서는 지역화폐 예산은 대거 삭감한 반면 온누리상품권 규모는 확대해온 바 있다.
이 의원은 “올해 온누리상품권 목표 발행 규모가 5조 5000억원인데, 5월 기준 발행량이 1조 8000억원으로 진도율이 33%다. 판매 실적이 너무 저조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안에 담긴 민생회복지원금도 모두 지역화폐로 지급하고, 지역사랑상품권도 추가로 발행해 온누리상품권 판매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따.
이 의원은 내수 침체를 살리기 위해 온누리상품권도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그는 “중기부에서 설 명절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할인율일 10%에서 15%로 상향해서 홍을 받은 바 있다”며 “할인율 인상 문제도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또 “지역화폐와 온누리상품권 정책을 융합할 시기”라며 “그 부분에 대해서 행안부와 중기부가 부처 칸막이를 없애고 협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서 김성섭 중기부 차관은 “온누리상품권 판매를 계속 독려하고, 연초에 할인판매도 많이 해 디지털 상품권 중심 수요는 늘고 있다”면서 “지역화폐와 온누리상품권 사용처가 중복되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당연히 협의를 하겠다”고 답했다.